사회책임투자(SRI) 원칙에 입각한 펀드 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에서도 SRI가 확산되고 있다. SRI는 지배구조가 우수하거나 환경 친화적인 기업,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책임을 적극 이행하는 기업 등을 선별해 투자하는 전략을 말한다.
하이자산운용이 지난 5월 말 SRI 펀드를 8년 만에 출시한 데 이어 국내 최대 자산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도 다음달 초 SRI 펀드 출시를 앞두고 있다.
4일 매일경제신문이 입수한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22조8900억달러 규모 펀드가 SRI 전략으로 운용되고 있다. GSIA는 2년 단위로 전 세계 SRI 규모를 발표하는데, 2년 전인 2014년 말과 비교하면 25.2%나 증가한 수치다.
유럽은 전체 펀드 자산의 절반이 넘는 52.6%가 SRI 원칙을 기반으로 운용이 이뤄진다. 미국은 전체 자산 대비 SRI 비중이 21.6%로 유럽보다는 낮다. 다만 최근 2년간 SRI 펀드 증가폭이 30%를 웃돌면서 관련 투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SRI 펀드는 기업을 환경(Environment), 사회적책임(Social Responsibility), 지배구조(Governance) 등 'E·S·G' 모형으로 평가해 이른바 '착한 기업'을 골라 투자한다. SRI가 글로벌 자산운용시장에서는 주류로 부상하고 있는 셈이다.
국내는 SRI 펀드 설정액이 3000억원에 불과해 아직은 걸음마 단계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전체 연기금의 SRI 관련 직접 및 위탁 투자를 포함해도 6조~7조원 규모에 불과한 실정이다.
다만 지난 5월 문재인정부 출범을 전후로 SRI 투자가 꿈틀대는 분위기다. 지난 5월 말 설정된 '하이사회책임투자' 펀드는 출시 한 달 만에 약 60억원의 투자금을 끌어모았다. 출시 후 한 달 수익률은 2.3%로 비교적 안정적이다.
삼성자산운용도 다음달 초 SRI 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서스틴베스트 또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으로부터 E·S·G 평가 관련 자문을 받아 밸류운용본부에서 운용을 맡는 구조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구성훈 삼성자산운용 대표는 "투자 대상 기업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기업 가치 향상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연금과 주요 자산운용사 40여 곳이 하반기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가 의결권 행사 지침)' 도입을 앞두고 있는 것도 SRI를 확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으로 기관투자가들이 배당 확대나 이사회 독립성 제고를 위해 관여하기 시작하면 상장 기업들의 지배구조 개선 효과에 따른 수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이자산운용이 지난 5월 말 SRI 펀드를 8년 만에 출시한 데 이어 국내 최대 자산운용사인 삼성자산운용도 다음달 초 SRI 펀드 출시를 앞두고 있다.
4일 매일경제신문이 입수한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22조8900억달러 규모 펀드가 SRI 전략으로 운용되고 있다. GSIA는 2년 단위로 전 세계 SRI 규모를 발표하는데, 2년 전인 2014년 말과 비교하면 25.2%나 증가한 수치다.
유럽은 전체 펀드 자산의 절반이 넘는 52.6%가 SRI 원칙을 기반으로 운용이 이뤄진다. 미국은 전체 자산 대비 SRI 비중이 21.6%로 유럽보다는 낮다. 다만 최근 2년간 SRI 펀드 증가폭이 30%를 웃돌면서 관련 투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SRI 펀드는 기업을 환경(Environment), 사회적책임(Social Responsibility), 지배구조(Governance) 등 'E·S·G' 모형으로 평가해 이른바 '착한 기업'을 골라 투자한다. SRI가 글로벌 자산운용시장에서는 주류로 부상하고 있는 셈이다.
국내는 SRI 펀드 설정액이 3000억원에 불과해 아직은 걸음마 단계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전체 연기금의 SRI 관련 직접 및 위탁 투자를 포함해도 6조~7조원 규모에 불과한 실정이다.
다만 지난 5월 문재인정부 출범을 전후로 SRI 투자가 꿈틀대는 분위기다. 지난 5월 말 설정된 '하이사회책임투자' 펀드는 출시 한 달 만에 약 60억원의 투자금을 끌어모았다. 출시 후 한 달 수익률은 2.3%로 비교적 안정적이다.
삼성자산운용도 다음달 초 SRI 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서스틴베스트 또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으로부터 E·S·G 평가 관련 자문을 받아 밸류운용본부에서 운용을 맡는 구조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구성훈 삼성자산운용 대표는 "투자 대상 기업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기업 가치 향상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연금과 주요 자산운용사 40여 곳이 하반기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가 의결권 행사 지침)' 도입을 앞두고 있는 것도 SRI를 확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으로 기관투자가들이 배당 확대나 이사회 독립성 제고를 위해 관여하기 시작하면 상장 기업들의 지배구조 개선 효과에 따른 수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