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더이상 공중전은 없다?"…美일방적 전력으로 상대국 기피
입력 2017-06-20 15:17  | 수정 2017-06-27 16:05
"더이상 공중전은 없다?"…美일방적 전력으로 상대국 기피


현대전에서 전투기 간의 공중전시대는 사실상 끝났다?

미 해군기가 시리아 상공에서 친미동맹군 '시리아민주군'(SDF)을 공습하던 시리아군 전투기를 격추한 데 맞서 러시아가 미국 주도 동맹군 전투기를 공격 표적으로 삼겠다고 경고하는 등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BBC 방송에 따르면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실제 공중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데다 격추기 수도 생각보다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미군이 공중전을 통해 시리아 전투기를 격추한 것은 1999년 이후 처음입니다.

'탑건' 등 할리우드 영화에서와 달리 실제 공중전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20세기 들어 미군은 5대 이상 적기를 격추한 것으로 확인된 전투 조종사에게 '에이스'(ace)라고 부르지만, 최근엔 이런 영예를 보유한 조종사는 없습니다.

미 싱크탱크인 전략예산평가센터(CSBA)는 2015년 펴낸 보고서를 통해 1990년대 이후 공중전에서 격추된 전투기 대수는 59대에 불과하며, 그나마 대부분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발생한 제1차 걸프전 기간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1차 걸프전 당시 미군 주도의 다국적연합군이 반격을 시작한 1991년 초 이라크군은 공중전에서 모두 33대의 전투기를 잃은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군의 피해는 F/A-18 전투기 한 대에 불과했습니다.

지난해 11월 24일 터키 접경 지역의 반군 근거지를 공습하던 시리아 파견 러시아군의 2인승 Su-24 전폭기가 터키 공군 소속 F-16 전투기의 공대공미사일에 격추된 사건을 계기로 국제 외교 분쟁이 초래되기도 했습니다.

영국 합동 국방안보연구소 소속 공중전 전문가 저스틴 브롱크 객원연구원은 "공중전 시대는 거의 끝났다고 봐도 된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는 "미 공군과 해군이 공중전에서 거의 일방적인 우위를 차지한 1차 걸프전 이후 미국과 우방의 공격을 받는 정권은 공중전으로 대응할 경우 어떤 결과가 초래될지 뻔히 알기 때문에 공중전 시도를 거의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브롱크 연구원은 1차 걸프전에서의 교훈 때문에 상당수 국가가 미국과 우방을 상대로 공중전을 사실상 포기했다고 풀이했습니다.

그는 "1차 걸프전 막바지 단계에서 대다수 이라크군 조종사들이 파국을 피하려고 공중전을 시도하는 대신 이란으로 피신했다"며 "숙적인 이란과의 끔찍한 전쟁을 막 끝낸 이라크 조종사들의 이런 행동은 결코 가벼운 결정이 아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또 2003년의 제2차 걸프전에서도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으로서는 "전투기를 발진시켜 공중전을 벌이기보다는 남아 있는 대부분의 전투기를 지하에 감추는 것이 파국을 피하는 방책"이었습니다.

오랜 철권통치를 한 실권자 무아마르 카다피에 반기를 들면서 발생한 2011년 리비아 내전에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가 무력 개입했을 때도 리비아 공군기들은 발진하지 않았습니다.

전문가들은 공중전이 선보인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저공에서 프로펠러기들이 편대를 이뤄 서로를 마주 보면서 기관총 대결을 벌였으며, 기술 진보에도 이런 기본 원칙은 50년 동안 그대로 유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오면서 육안을 통한 전투는 사라졌습니다.

CSBA 보고서에 따르면 1965∼1969년 기간 공중전에서 격추된 65%가 기관포에 의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러나 기관포는 이내 공대공미사일로 대체됐다. 실제 1990∼2002년 기간 기관포를 통한 격추율은 5%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공대공미사일의 몫이었습니다.

브롱크 연구원은 "현대의 공중전은 거의 모두 레이더나 다른 탐지장비를 통한 상황인식과 공대공미사일 기술로 결정된다"며 "실제로 최근 제트 전투기 간의 모든 공중전은 일방적이고, 순간적으로 끝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또 지난 20년 동안 공중전에 의한 적기 격추는 조종사 시야에서 벗어난 거리에서 이뤄졌으며, 이는 기술우위를 차지한 미국에 분명한 이점을 가져왔다고 덧붙였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