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부동산 시장이 과열됐다는 경보음이 잇달으면서, 정부는 다음 주부터 집중 단속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과연 어느 정도인지 시장을 한번 살펴볼까요.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들어 전국 아파트 값은 0.34% 상승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 0.06%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지역 1.72%를 비롯해 부산이 1.92%, 세종은 2.25%로 이같은 상승세를 이끌었는데요.
가령 서울 강남 개포주공 1단지 36㎡는 호가가 9억 8000만 원 수준인데, 지난해 11·3 대책 이후에만 1억 5,000만 원이 올랐습니다.
집값 상승만큼 청약 경쟁률도 높습니다. 서울에서는 지난달 영등포에서 27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세종과 부산에서는 각각 151.63 대 1과 228.2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빚내서 집을 사는 사람이 크게 늘면서, 가계부채가 1,360조 원으로 급속도로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급기야 정부는 여러 가지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신동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부동산 시장이 과열됐다는 경보음이 잇달으면서, 정부는 다음 주부터 집중 단속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과연 어느 정도인지 시장을 한번 살펴볼까요.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들어 전국 아파트 값은 0.34% 상승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 0.06%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지역 1.72%를 비롯해 부산이 1.92%, 세종은 2.25%로 이같은 상승세를 이끌었는데요.
가령 서울 강남 개포주공 1단지 36㎡는 호가가 9억 8000만 원 수준인데, 지난해 11·3 대책 이후에만 1억 5,000만 원이 올랐습니다.
집값 상승만큼 청약 경쟁률도 높습니다. 서울에서는 지난달 영등포에서 27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세종과 부산에서는 각각 151.63 대 1과 228.2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빚내서 집을 사는 사람이 크게 늘면서, 가계부채가 1,360조 원으로 급속도로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급기야 정부는 여러 가지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신동규 기자가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