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AI악몽 재현되나…감염경로 여전히 미스테리
입력 2017-06-04 16:14 
사진=연합뉴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사례가 두 달 만에 또 발생하면서 지난 겨울 전국을 휩쓴 'AI 악몽'이 재현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감염 경로가 명확하지 않은 데다 방역 당국의 손이 미치기 힘든 소규모 농가에서 발생한 탓에 이미 인근 지역으로 퍼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높은 기온과 습도를 잘 견디지 못하는 AI 바이러스가 봄과 겨울이 아닌 여름에 발생해 유입 경로 등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 방역구멍 없었나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7마리 규모의 작은 토종닭 농가에서 AI 의심 신고가 들어온 건 지난 2일 오후입니다.


해당 농가의 농장주는 이보다 앞서 엿새 전인 지난달 27일 도내에서 열린 오일장에서 오골계 5마리를 샀으나, 이틀 뒤인 29일부터 30일 사이 5마리가 전부 폐사했습니다.

공교롭게도 30일은 농식품부가 '구제역·AI 특별방역대책기간'을 종료하고 1일부로 평시 방역체계로 전환한다는 내용을 발표한 당일입니다.

그러나 당시 농장주는 오골계 폐사 사실을 당국에 즉각 알리지 않았다. 농장주가 AI라고 의심하지 못한 것 같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입니다.

이 농장주는 사흘 만인 지난 2일 기존에 있던 토종닭 3마리가 추가로 폐사하자 그제야 당국에 신고했다. 고병원성 확진은 안됐으나 H5N8형 AI로 확인됐습니다.

문제의 오골계는 전북 군산시 서수면의 1만5천여 마리 규모 종계 농장에서 중간유통상 격인 제주 지역의 또 다른 농가를 거쳐 닷새장을 통해 유통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시장에서 판매될 때부터 오골계가 AI에 감염된 상태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농장주가 의심 신고를 하기 전까지 최소 6일간은 AI 바이러스가 '자유롭게' 옮겨 다녔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군산 종계 농장에서는 제주 외에 경기 파주, 경남 양산 등으로도 모두 합쳐 3천 마리가량의 오골계를 유통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당국이 군산·제주·파주·양산 등 4개 시·군, 19개 농장을 도살 처분한 뒤 조사한 결과 감염 사실이 확인된 군산·제주 외에 파주·양산 내 2개 농장에서도 AI 양성반응이 추가 확인됐습니다.

소규모 농가와 같은 방역 사각지대에서 바이러스가 여전히 활동 중인 상황에서 당국이 섣부르게 사실상의 종식 선언이나 다름없는 '평시 방역체계'로 전환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대형 양계장 같은 곳은 철저하게 검사를 하고 관리를 하지만, 이번에 문제가 된 농가처럼 허가를 받지 않고 뒤뜰에서 소규모로 키우는 곳들이어서 일일이 관리를 하기엔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변두리의 소규모 농가가 또 문제가 될 수 있어 이달 중에 허가 없이 닭 사육을 하는 농가에 대한 단속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 여름에 터진 AI, 어디서 왔나

문제는 이번 사태에서 '진원지' 격인 군산 종계 농장의 AI 바이러스 유입경로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AI 바이러스의 경우 주로 중국 등지에서 철새가 들어오는 겨울이나 봄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추운 날씨를 좋아하는 바이러스 특성상 겨울철에는 가금류 체내에 기생하지 않고도 '혼자서' 최장 21일까지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반면 여름철에는 높은 기온이나 습도를 견디지 못하고 사멸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철새 이동 시기도 아닌 여름철에 AI가 다시 발생한 것입니다.

더욱이 군산 종계농장의 경우 지난 3월 중순께 한 차례 AI 검사를 받았으며, 당시 음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국은 주로 전통시장, 가든형 식당이나 중·소규모 농가와 거래를 해온 군산 종계농장이 역(易) 감염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뒤뜰에서 방목해 키우는 소규모 농가들의 경우 바이러스가 닭이나 오리 체내에 장기간 머물며 생명력을 유지하다 다른 가금으로 옮기는 '순환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군산 농장주가 순환 감염이 발생한 소규모 농장 등과 접촉하다 역으로 감염됐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민연태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기온이 높아지면 AI 바이러스가 혼자 살기는 힘든 조건이므로 사람 간 감기를 옮기듯 순환 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데, 방목해 키우는 소규모 농가에선 문제가 되지 않지만, 1만마리 이상 사육시설로 들어가면 문제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민 국장은 "역학 조사를 더 해야겠지만 군산 농장주가 시장통이나 소규모 농가 등에서 바이러스를 자신의 농장에 옮겨온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관건은 AI의 재확산 여부입니다.

일단 현재까지 군산 농장에서 파주·양산·제주 등 최소 3개 지역으로 닭 3천마리가 유통된 사실은 확인됐지만, 다른 지역으로 닭이 유통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 중·소거래상이다보니 거래 내역이 명확하지 않고, 이해관계가 얽힌 상인들이 적극적으로 조사에 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당국이 유통 경로를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주에서 검출된 H5N8형 AI의 경우 지난 겨울 창궐한 H5N6형에 비해 전파 속도가 빠르진 않지만 잠복기가 길어 가금류가 발병증상을 보이는 시점에는 이미 주변에 다 퍼진 상태일 가능성이 큽니다.

겨울철 AI 여파로 치솟은 계란·닭고기 가격이 여전히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AI가 또 확산할 경우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집니다.

당국이 5일 0시부터 전국 모든 전통시장과 가든형 식당에서 '살아있는 닭' 유통을 전면 금지하기로 한 것 역시 재확산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 이준원 차관 등 당국 관계자들은 4일 제주·군산·파주·양산 등을 각각 방문해 방역 상황을 점검합니다.

농식품부는 또 제주나 군산의 농장에 대한 고병원성 확진 판정이 나오는 즉시 AI 위기경보 단계를 가장 높은 '심각' 단계로 격상해 방역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