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집값 규제의 나비효과?…서울 저소득층 월세부담 급증
입력 2017-05-23 17:21 
서울 시민의 월세 부담이 다시 커지고 있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7년 1분기 서울시 내 반전세 주택 전월세전환율은 지난해 4분기보다 0.5%포인트 상승한 5.2%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6.2%보다는 1%포인트 하락했으나 꾸준히 하향 곡선을 그리던 서울시 전월세전환율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7분기 만이다.
지난해 정부가 청약 규제 및 자격 제한 등을 골자로 하는 '11·3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내 집 마련을 미룬 사람들이 전세나 월세로 몰려나온 현상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2013년 3분기부터 서울시 전역 동 주민센터 등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전·월세 계약을 토대로 자치구와 권역, 주택 유형, 전세보증금 등으로 분류하고 분석해 전월세전환율을 발표한다. 전월세전환율 숫자가 높을수록 월세 부담률이 큰 것으로 해석한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북 지역 전월세전환율이 높은 편이었다. 월세 부담이 큰 지역은 금천구(6.5%)를 제외하면 동대문구(6.1%), 성북구(6.0%), 서대문구(6.0%)로 모두 강북에 있었다. 부담이 작은 지역은 강동구(4.3%), 송파구(4.4%), 광진구(4.7%)가 꼽혔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감지됐다. 전세보증금을 많이 낼 수 있고 아파트에 거주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부담이 작았고, 단독·다가구에 1억원 이하 낮은 전세보증금을 내는 계층의 부담은 컸다. 서울시 내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4.8%였던 데 비해 월세 거래가 많은 단독·다가구는 전월세전환율 전체 평균이 6.1%에 달했다. 전세보증금 액수별로 보면 보증금이 1억원 이하일 때 6.5%, 1억원 초과면 4.3~4.6%로 연 2%포인트 더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1억원 이하 단독·다가구는 6.9%로 아파트보다 높은 이율로 전환됐다.
월세 혹은 반전세로 많이 거래되는 오피스텔이나 원룸 같은 일반적 주택 유형이 아닌 기타 부동산의 경우 전월세전환율이 지난해 4분기보다 무려 1.3%포인트 뛰어 7.0%를 기록했다. 그나마 동남권 전환율이 5.6%로 가장 낮은 편이었고, 동북권은 7.3%로 높아 1.7%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오피스텔이나 원룸에는 보통 학생들이나 직장 초년병들이 많이 산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민 부담이 커진다는 쪽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2017년 1분기 전월세전환율은 도심권 아파트와 동북·서북권 단독·다가구에서 비교적 높게 상승했다. 이는 한강 이북지역 월세 부담이 보다 높다는 것"이라며 "지난 3년간 꾸준히 하향하던 전월세전환율이 작년 11·3 대책 이후 주택 구매에 좀 더 신중해지면서 전·월세 수요 증가로 이어진 효과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전문가들 시각은 다르다. 박합수 KB국민은행 수석 부동산 전문위원은 "최근 동대문을 비롯한 비강남권 뉴타운·재개발로 인한 이주 수요가 인근 지역 단독·다가구 등으로 퍼지면서 강북권 단독·다가구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 <용어 분석>
▷ 전월세전환율 :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이자율을 뜻한다. 한 달에 내는 월세를 전세금에서 월세보증금을 뺀 숫자로 나눠서 월세 비중을 판단한다.
[박인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