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지주회사 전환 안 한다…이재용 경영권 강화 '사실상 포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경영권 승계의 유력한 방안으로 꼽히던 지주회사 전환 카드를 전격 폐기했습니다.
삼성전자가 27일 지주회사 전환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은 이 부회장이 사실상 인위적인 지배구조 개편 등으로 자신의 경영권 강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적분할을 통한 삼성전자의 지주회사 전환은 '자사주의 마법'으로 불리는 메커니즘을 통해 총수 등 지배주주 일가의 지배력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돼 왔습니다.
인적분할 과정에서 삼성전자가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되면, 신설된 지주회사에도 사업회사의 자사주가 배정되면서 그 주식에는 의결권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지배주주는 돈 한 푼 안 들이고도 지배력을 확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이날 지주회사 전환 계획의 백지화를 선언했습니다. 그뿐 아니라 지주회사 전환을 통한 지배력 강화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자사주도 전량 소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주회사 전환으로 건너갈 수 있는 '다리'마저 불 살라 버린 셈입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지배구조는 당분간 현행 체제를 유지할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현재 이건희 삼성 회장(3.5%)과 이재용 부회장(0.6%) 등 오너 일가와 삼성물산·삼성생명 등 계열사가 가진 삼성전자 주식을 모두 합치면 18.2%입니다.
자사주도 13.3%가 있지만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어 경영권 방어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반면 외국인 주주들의 지분율은 50%를 넘기 때문에 이 부회장 등 오너 일가의 지배력이 이들의 경영권 공격 등에 취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이미 실질적으로 이 부회장이 경영권과 오너십을 행사하고 있지만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 것은 이 때문입니다.
외부의 경영권 공격 등으로부터 좀 더 안정적인 지배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주회사 전환 카드 폐기와 함께 자사주 전량 소각 결정을 내린 것은 인위적인 지배구조 개편으로 이 부회장의 경영권 강화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한 셈입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청문회에 나와 '경영권은 (지분율보다) 경영능력을 입증해 인정받는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습니다.
또 당시 "저보다 훌륭한 분 있으면 언제든지 경영권 넘기겠다"며 경영권에 연연해 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이번 지주회사 전환 카드 폐기 역시 지분율 강화보다는 능력 입증을 통해 경영권을 확고히 하겠다는 이 부회장의 철학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경영권 승계의 유력한 방안으로 꼽히던 지주회사 전환 카드를 전격 폐기했습니다.
삼성전자가 27일 지주회사 전환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은 이 부회장이 사실상 인위적인 지배구조 개편 등으로 자신의 경영권 강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적분할을 통한 삼성전자의 지주회사 전환은 '자사주의 마법'으로 불리는 메커니즘을 통해 총수 등 지배주주 일가의 지배력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돼 왔습니다.
인적분할 과정에서 삼성전자가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되면, 신설된 지주회사에도 사업회사의 자사주가 배정되면서 그 주식에는 의결권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지배주주는 돈 한 푼 안 들이고도 지배력을 확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이날 지주회사 전환 계획의 백지화를 선언했습니다. 그뿐 아니라 지주회사 전환을 통한 지배력 강화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자사주도 전량 소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주회사 전환으로 건너갈 수 있는 '다리'마저 불 살라 버린 셈입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지배구조는 당분간 현행 체제를 유지할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현재 이건희 삼성 회장(3.5%)과 이재용 부회장(0.6%) 등 오너 일가와 삼성물산·삼성생명 등 계열사가 가진 삼성전자 주식을 모두 합치면 18.2%입니다.
자사주도 13.3%가 있지만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어 경영권 방어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반면 외국인 주주들의 지분율은 50%를 넘기 때문에 이 부회장 등 오너 일가의 지배력이 이들의 경영권 공격 등에 취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이미 실질적으로 이 부회장이 경영권과 오너십을 행사하고 있지만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 것은 이 때문입니다.
외부의 경영권 공격 등으로부터 좀 더 안정적인 지배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주회사 전환 카드 폐기와 함께 자사주 전량 소각 결정을 내린 것은 인위적인 지배구조 개편으로 이 부회장의 경영권 강화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언한 셈입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청문회에 나와 '경영권은 (지분율보다) 경영능력을 입증해 인정받는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습니다.
또 당시 "저보다 훌륭한 분 있으면 언제든지 경영권 넘기겠다"며 경영권에 연연해 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이번 지주회사 전환 카드 폐기 역시 지분율 강화보다는 능력 입증을 통해 경영권을 확고히 하겠다는 이 부회장의 철학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