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부채가 141조 폭증하며 2002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4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가계신용(가계부채) 잔액은 134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5년 4분기 1203조1000억원에서 무려 11.7% 급증한 것이다. 가계부채 증가율은 2006년 전년 대비 11.8% 증가한 이래 두번째로 컸다. 2006년 부동산 시장이 최고의 호황을 누리던 시기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우려스럽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는 불황 속에서 빚이 크게 늘어난 것이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가계부채가 한국 경제 전반을 짓누를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다. 무엇보다 '소비 → 투자 → 고용 → 소비'로 이어지는 내수경제의 선순환 구조가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다. 빚에 짓눌린 가계가 소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면서 기업이 투자를 늘리지 못하고, 일정 시차를 두고 고용도 줄어들어 내수경제가 얼어붙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명목 가계소득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7%에 그쳤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11.2%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빚이 증가하는 속도가 10배 넘게 높았다.
이 결과 소득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한계가구는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이 40%를 넘는 가구를 말하는데, 지난해 181만5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16.7%에 달했다. 한계가구는 2015년만 해도 전체 가구의 14.8%를 차지했지만 불과 1년 만에 1.9% 포인트 올랐다. 특히 이들 한계가구는 지난해 기준으로 가처분소득 대비 매달 갚는 원리금상환액의 비율이 112.7%에 달했다. 매달 벌어들이는 소득에서 각종 고정비용을 제외하면 원금과 이자를 갚든 데 모두 써도 부족하다는 뜻이다. 이상용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지난해 이후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우상향하는 모습을 뚜렷이 보이고 있다"면서 "새마을금고 같은 비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최근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규식 기자 /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