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해외주식형 펀드 수익률이 한 주 만에 플러스로 전환된 가운데 홍콩H지수 종목에 투자하는 펀드들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중국 본토 투자자들이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유망 종목을 대거 사들이면서 홍콩H지수는 심리적 저항선인 1만 선을 돌파하며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1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0일 집계 기준(ETF 제외) 주간수익률 상위 10개 해외주식형 펀드 가운데 8개가 홍콩H주 펀드였다. 홍콩H주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2.4%로, 같은 기간 해외주식형 펀드 수익률(0.9%)보다 1.5%포인트 높았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인 개별 펀드로는 '미래에셋인덱스로차이나H레버리지2.0 펀드'가 한 주간 7.3%의 수익률을 거두며 2위를 차지했다. '맥쿼리차이나Bull 1.5 펀드' '한화차이나H스피드업1.5배 펀드'가 각각 5.7%와 5.5%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1.5 펀드'(5.5%) '신한BNPP차이나인덱스 펀드'(3.9%) 'KB스타차이나H인덱스 펀드' (3.7%)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김경미 에프앤가이드 연구원은 "중국계 자금의 홍콩 블루칩 시장 유입으로 홍콩H지수가 한 주간 크게 상승했다"며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이에 오간 호의적인 내용도 한몫했다"고 분석했다.
홍콩H주 펀드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10위권에 진입한 펀드는 '블랙록월드골드 펀드'(7.8%)와 '신한BNPP골드 펀드'(4.9%)에 불과했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와 감세정책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안전자산인 금 선물의 경우 9일 기준 전주 대비 1.5% 상승하는 등 해당 원자재 투자 펀드 수익률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주식형 펀드의 주간수익률은 -0.2%로 4주 연속 마이너스 수익률을 지속했다.
개별 펀드로는 '현대현대그룹플러스 펀드'가 1.8%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한국투자마이스터 펀드' '동부바이오헬스케어 펀드'가 각각 1.5%와 1.4%의 성과를 보였다.
국내외 채권형 펀드는 각각 주간수익률 0.1%와 0.5%를 기록했다. 김 연구원은 "신흥국 리스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줄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민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0일 집계 기준(ETF 제외) 주간수익률 상위 10개 해외주식형 펀드 가운데 8개가 홍콩H주 펀드였다. 홍콩H주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2.4%로, 같은 기간 해외주식형 펀드 수익률(0.9%)보다 1.5%포인트 높았다. 설정액 100억원 이상인 개별 펀드로는 '미래에셋인덱스로차이나H레버리지2.0 펀드'가 한 주간 7.3%의 수익률을 거두며 2위를 차지했다. '맥쿼리차이나Bull 1.5 펀드' '한화차이나H스피드업1.5배 펀드'가 각각 5.7%와 5.5%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미래에셋차이나H레버리지1.5 펀드'(5.5%) '신한BNPP차이나인덱스 펀드'(3.9%) 'KB스타차이나H인덱스 펀드' (3.7%)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김경미 에프앤가이드 연구원은 "중국계 자금의 홍콩 블루칩 시장 유입으로 홍콩H지수가 한 주간 크게 상승했다"며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이에 오간 호의적인 내용도 한몫했다"고 분석했다.
홍콩H주 펀드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10위권에 진입한 펀드는 '블랙록월드골드 펀드'(7.8%)와 '신한BNPP골드 펀드'(4.9%)에 불과했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와 감세정책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안전자산인 금 선물의 경우 9일 기준 전주 대비 1.5% 상승하는 등 해당 원자재 투자 펀드 수익률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주식형 펀드의 주간수익률은 -0.2%로 4주 연속 마이너스 수익률을 지속했다.
개별 펀드로는 '현대현대그룹플러스 펀드'가 1.8%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한국투자마이스터 펀드' '동부바이오헬스케어 펀드'가 각각 1.5%와 1.4%의 성과를 보였다.
국내외 채권형 펀드는 각각 주간수익률 0.1%와 0.5%를 기록했다. 김 연구원은 "신흥국 리스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줄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민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