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지난해 주택가격 상승률 5분의 1 토막
입력 2017-01-01 13:02 
2016 주택가격 총결산. <자료제공 = 한국감정원>

지난해 전국 주택가격 상승률이 0.71%에 그쳤다. 2015년 대비 5분의 1 수준이다. 공급과잉 우려에 11·3 부동산대책 등 규제와 금리인상 우려까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은 0.71%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3.51%)은 물론, 2014년(1.71%)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2012년 -1.43%를 기록한 이후 이어진 집값 상승률 확대가 4년 만에 꺾였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11월 누계 기준 96만4000건을 기록해 2015년 110만6000건에 비해 소폭 줄었지만 2011년~2015년 평균치인 85만6000건에 비해서는 높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이 1.32%로 지방(0.17%)에 비해 상승폭이 10배 이상 컸다. 시도별로는 외부인 투자가 많은 제주가 4.63%로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11·3 규제의 전매제한을 비켜간 부산이 3.18%로 그 뒤를 이었다. 서울(2.14%), 강원(1.33%) 등이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입주물량이 많은 대구(-1.84%), 경북(-1.66%) 등은 하락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각각 0.76%씩 상승했으며 연립주택은 0.41% 상승했다. 2015년 아파트의 상승폭은 4.89%에 달했다.

전세시장 역시 수도권 신도시와 대구·경북지역 중심으로 신규입주가 늘어난 덕분에 큰 상승 없이 안정적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해 전국 주택 전셋값은 1.32%로 2015년 4.85%에 비해 대폭 줄었다. 수도권이 2.04%로 지방(0.67%)에 비해 3배 가량 상승폭이 컸다. 세종이 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전셋값 상승률을 보였고 부산(2.9%), 인천(2.25%), 경기(2.06%) 등이 뒤를 이었다.
강여정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지난해 국내 주택시장은 저금리 기조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로 재건축·재개발이 활발한 수도권 및 부산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됐으나 11·3 대책과 가계부채 관리방안 발표 이후 상승폭이 축소됐다"며 "계절적 비수기와 국내 산업경기 회복 지연, 공급과잉 우려까지 겹쳐 봄 이사철 전까지는 가격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순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