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특검, 삼성 본격 수사…그룹 수뇌부 줄소환·강제수사 임박
입력 2016-12-29 11:11 
사진=MBN
특검, 삼성 본격 수사…그룹 수뇌부 줄소환·강제수사 임박


박근혜 대통령의 각종 비위 의혹을 수사하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박 대토령의 제3자 뇌물수수 의혹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비선 실세' 최순실 씨와 청와대,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관리공단(이하 국민연금), 삼성그룹 등을 잇는 의혹의 핵심 고리들에 대한 수사가 급진전하면서 비리 윤곽이 모습을 드러내는 양상이다. 특검 수사는 삼성그룹 수뇌부 조사로 빠르게 옮겨갈 것으로 관측됩니다.

특검팀은 29일 최 씨 일가에 대한 삼성그룹의 특혜 지원 의혹과 관련해 김재열 제일기획 스포츠사업 총괄사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계획입니다.

공식 수사 개시일인 21일 이후 특검팀이 삼성그룹 임원을 소환 조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최순실 게이트' 검찰 특별수사본부 수사 결과, 김 사장은 작년 10월∼올해 3월 삼성전자가 최 씨 조카 장시호 씨의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16억2천800만원을 후원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검팀은 이 돈이 작년 7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그룹 경영권 승계를 위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국민연금이 찬성한 데 따른 대가일 가능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작년 8월 삼성전자가 최순실 씨의 독일 현지 법인 코레스포츠(비덱스포츠의 전신)와 220억원 규모의 컨설팅 계약을 맺고 35억원을 지원한 것과 함께 최 씨 일가에 대한 삼성그룹의 뇌물제공 의혹을 뒷받침하는 정황입니다.

특검팀은 김재열 사장을 시작으로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담당 사장, 장충기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최지성 삼성 미래전략실 부회장 등 그룹 수뇌부를 줄소환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공식 수사에 앞서 박 사장과 장 사장은 접촉하기도 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소환 조사도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특검 안팎에서는 사법처리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삼성그룹과 최 씨 일가 사이에 오간 부정한 청탁이나 삼성그룹과 청와대의 '거래' 정황이 포착될 경우 박 대통령의 제3자 뇌물수수 의혹을 정조준하고 있는 특검팀의 수사는 급물살을 타게 됩니다.

특검팀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국민연금이 찬성하게 된 과정에 '윗선'의 부당한 압력이 작용한 의혹은 이미 상당 부분 규명한 상태입니다.

당시 국민연금의 결정을 주도했던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로부터 '보건복지부의 압력이있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고 문형표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을 긴급체포해 고강도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문 전 장관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대한 국민연금의 찬성을 끌어내겠다는 내용의 보고서 작성을 복지부 간부들에게 지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복지부 공무원들과 국민연금 직원들이 양사 합병과 관련해 인터넷으로 자료를 공유하며 긴밀하게 의견을 주고받은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특검팀은 27일에는 김진수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에게 '국민연금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하도록 하라'는 지시를 내린 의혹을 받는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을 소환 조사했습니다.

국민연금에 대한 외압의 진원지를 추적하는 특검팀의 칼끝은 안 전 수석을 넘어 박 대통령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안 전 수석은 26일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을 비롯해 최순실 씨의 국정농단 의혹에 휩싸인 각종 사업이 모두 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

특검팀의 김재열 사장 소환 조사는 국민연금 외압 외에 삼성그룹과 최 씨 일가, 삼성그룹과 청와대의 거래 정황을 밝혀내 박 대통령의 제3자 뇌물수수 의혹을 구성하는 나머지 2개 축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그러나 삼성그룹은 이 같은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습니다.

이재용 부회장은 6일 국조특위 청문회에서 최 씨의 딸 정유라 씨에 대한 지원과 관련해 "어쩔 수 없는 사정이 있다고 들었다. 자발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단 한 번도 뭘 바란다든지, 반대 급부를 바라면서 출연하거나 지원한 적이 없다"며 대가성을 부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특검팀이 조만간 삼성그룹을 대상으로 강제수사나 핵심 인사 소환 및 신병 확보 검토 등을 통해 수사 강도를 높이는 방안도 점쳐집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