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대대장이 폭음통 소모 지시…중사가 불법해체 주도, 화약 5㎏ 바닥에 버려져
13일 발생한 울산의 예비군훈련부대 폭발사고는 장병들이 훈련용 폭음통 약 1천600개의 화약을 분리, 바닥에 버려둔 것이 갈퀴나 삽 등 철재도구에서 발생한 정전기와 만나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휘관인 대대장은 위험성을 인지하고도 폭음통 소모를 지시했으며, 탄약관리를 담당하는 부사관 등 6명의 장병은 모두 5kg가량의 화약을 바닥에 버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육군 53사단 헌병대는 14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이번 사고 원인과 수사 계획 등을 설명하는 브리핑을 열었습니다.
정영호 헌병대장(중령)은 "사고 후 '12월 1일 장병들이 훈련용 폭음통 화약을 분리하는 장면을 목격했다'는 진술을 확보, 이 부대 탄약관인 이모 중사 등을 추궁했다"면서 "이 중사는 처음에 '부대 도로 등에 던져서 폭약통을 소모했다'고 허위 진술했으나, 이후 '화약을 분리해 바닥에 버렸다'고 자백했다"고 밝혔습니다.
정 대장은 "이 중사는 훈련일지에 폭음통을 제대로 소모한 것처럼 허위로 기재한 뒤 정보작전과장에게 '탄약 검열에 대비해 폭음통을 소모해야 한다'고 알렸다"면서 "이런 보고를 받은 대대장은 폭음통의 폭발력 등 위험을 알면서도 '비 오는 날 여러 차례 나눠서 소모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대대장이 폭음통 화약을 분리해 버리는 방식을 알고 지시한 것은 아니라고 헌병대는 밝혔습니다.
훈련용 폭음통은 길이 5㎝, 지름 1.5㎝ 크기에 7㎝짜리 도화선이 달린 교보재로, 불을 붙여 던지면 포탄이나 수류탄이 터지는 소음을 낼 수 있어 각종 군 훈련에서 사용됩니다.
헌병대에 따르면 이 폭음탄 1개에는 3g가량의 저성능 화약이 들어있습니다.
이 화약은 25m 떨어진 곳에서 터질 때 103㏈의 소음을 들을 수 있는 수준의 폭발력을 지닙니다. 불을 붙이면 초당 400m를 타고 들어가는 성질을 가졌습니다.
헌병대 설명을 종합하면, 이 중사는 11월 말 부대 참모인 정보작전과장에게 폭음통 소모가 급하다고 알렸고 이는 대대장에게 보고됐습니다.
대대장은 "위험이 없도록 비 오는 날 소모하라"고 지시했으나, 이 중사는 폭음통을 일일이 터트리는 대신 화약을 따로 분리해 폐기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이 중사는 부대 소대장에게 도움을 청했고, 소대장은 12월 1일 시가지 전투장 내 한 구조물 옆에서 사병 4명의 도움을 받아 폭음통 1천600여 개의 화약을 추출해 바닥에 버렸다. 당시 이 중사는 근처에서 다른 볼일을 봤습니다.
약 5㎏의 화약이 바닥에 흩어져 방치된 셈입니다.
이런 사실이나 위험성을 모르는 병사들이 13일 오전 낙엽 청소 후 점심을 먹으러 식당으로 향했습니다.
전투장 옆으로 지나는 길은 비포장인 데다 내리막길이어서 병사들은 열을 맞추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했습니다.
이때 손에 들고 있던 갈퀴나 삽 등이 바닥을 긁었거나 충격하면서 정전기가 발생, 다량의 화약에 점화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시 현장에 있던 병사들은 섬광, 열기, 충격파를 느끼고 쓰러졌습니다.
헌병대는 "지휘관인 대대장을 비롯해 정보작전과장, 소대장, 탄약관 등을 모두 조사 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날 육군이 6명이라고 발표했던 부상자는 10명으로 늘었다. 군은 4명의 고막 파열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발목 골절과 안면부 화상으로 중상자로 분류됐던 이모(21) 병사는 발가락 3개가 절단됐다고 군은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13일 발생한 울산의 예비군훈련부대 폭발사고는 장병들이 훈련용 폭음통 약 1천600개의 화약을 분리, 바닥에 버려둔 것이 갈퀴나 삽 등 철재도구에서 발생한 정전기와 만나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휘관인 대대장은 위험성을 인지하고도 폭음통 소모를 지시했으며, 탄약관리를 담당하는 부사관 등 6명의 장병은 모두 5kg가량의 화약을 바닥에 버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육군 53사단 헌병대는 14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이번 사고 원인과 수사 계획 등을 설명하는 브리핑을 열었습니다.
정영호 헌병대장(중령)은 "사고 후 '12월 1일 장병들이 훈련용 폭음통 화약을 분리하는 장면을 목격했다'는 진술을 확보, 이 부대 탄약관인 이모 중사 등을 추궁했다"면서 "이 중사는 처음에 '부대 도로 등에 던져서 폭약통을 소모했다'고 허위 진술했으나, 이후 '화약을 분리해 바닥에 버렸다'고 자백했다"고 밝혔습니다.
정 대장은 "이 중사는 훈련일지에 폭음통을 제대로 소모한 것처럼 허위로 기재한 뒤 정보작전과장에게 '탄약 검열에 대비해 폭음통을 소모해야 한다'고 알렸다"면서 "이런 보고를 받은 대대장은 폭음통의 폭발력 등 위험을 알면서도 '비 오는 날 여러 차례 나눠서 소모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대대장이 폭음통 화약을 분리해 버리는 방식을 알고 지시한 것은 아니라고 헌병대는 밝혔습니다.
훈련용 폭음통은 길이 5㎝, 지름 1.5㎝ 크기에 7㎝짜리 도화선이 달린 교보재로, 불을 붙여 던지면 포탄이나 수류탄이 터지는 소음을 낼 수 있어 각종 군 훈련에서 사용됩니다.
헌병대에 따르면 이 폭음탄 1개에는 3g가량의 저성능 화약이 들어있습니다.
이 화약은 25m 떨어진 곳에서 터질 때 103㏈의 소음을 들을 수 있는 수준의 폭발력을 지닙니다. 불을 붙이면 초당 400m를 타고 들어가는 성질을 가졌습니다.
헌병대 설명을 종합하면, 이 중사는 11월 말 부대 참모인 정보작전과장에게 폭음통 소모가 급하다고 알렸고 이는 대대장에게 보고됐습니다.
대대장은 "위험이 없도록 비 오는 날 소모하라"고 지시했으나, 이 중사는 폭음통을 일일이 터트리는 대신 화약을 따로 분리해 폐기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이 중사는 부대 소대장에게 도움을 청했고, 소대장은 12월 1일 시가지 전투장 내 한 구조물 옆에서 사병 4명의 도움을 받아 폭음통 1천600여 개의 화약을 추출해 바닥에 버렸다. 당시 이 중사는 근처에서 다른 볼일을 봤습니다.
약 5㎏의 화약이 바닥에 흩어져 방치된 셈입니다.
이런 사실이나 위험성을 모르는 병사들이 13일 오전 낙엽 청소 후 점심을 먹으러 식당으로 향했습니다.
전투장 옆으로 지나는 길은 비포장인 데다 내리막길이어서 병사들은 열을 맞추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했습니다.
이때 손에 들고 있던 갈퀴나 삽 등이 바닥을 긁었거나 충격하면서 정전기가 발생, 다량의 화약에 점화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시 현장에 있던 병사들은 섬광, 열기, 충격파를 느끼고 쓰러졌습니다.
헌병대는 "지휘관인 대대장을 비롯해 정보작전과장, 소대장, 탄약관 등을 모두 조사 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날 육군이 6명이라고 발표했던 부상자는 10명으로 늘었다. 군은 4명의 고막 파열이 추가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발목 골절과 안면부 화상으로 중상자로 분류됐던 이모(21) 병사는 발가락 3개가 절단됐다고 군은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