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대선 레이스 서서히 달아올라…'이재명 현상' 변수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야권은 자연스럽게 조기대선 국면으로 진입하는 모양새입니다.
대선 시기는 알수 없지만 이르면 내년 봄 대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일각에서는 실무선에서도라도 경선 룰이나 일정 등 조율을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와 조기대선 분위기를 더욱 달아오르게 하고 있습니다.
◇ '이재명 현상' 계속될까…경쟁구도 재편 촉각 = 야권의 대선 구도에서 초미의 관심사는 이번 탄핵 정국에서 이슈로 떠오른 '이재명 현상'이 계속될지 여부입니다.
이재명 성남시장의 경우 6~8일 전국의 성인남녀 1천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갤럽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에서 18%를 기록, 공동 1위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20%),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20%)와 사실상의 3강체제를 구축했습니다.
이 시장은 지난 10월 갤럽조사(1천26명,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5%를 받았던 것에 비하면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무려 13%포인트가 급상승한 셈입니다.
그 사이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같은 기간 9%에서 8%로 소폭 하락하는 등 다른 주자들은 다소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야권에서는 탄핵안 가결 후에도 이 시장의 거침없는 상승세가 이어질지, 아니면 '반짝효과'에 머무를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이 시장이 촛불민심을 가장 잘 대변했다. 당분간 촛불민심이 정국을 끌고 갈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지지율도 탄탄히 자리를 잡을 것"이라고 봤습니다.
반면 다른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퇴진을 외치는 것과 다음 정권에서의 비전을 보여주는 것은 다른 문제"라면서 "지금의 파죽지세를 이어가긴 힘들 것"이라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 시장의 약진은 다른 후보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야권에서 그동안 독주를 해왔던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에게는 이 시장의 존재가 충분히 위협적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다만 문 전 대표 측에서는 이 시장의 상승세가 결국은 일반 유권자들 사이에서 민주당 전체의 '파이'를 키우는 것인데다 그동안 문 전 대표에 집중된 견제를 분산시킨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안 전 대표나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의원 등 다른 잠룡들에게도 이 시장의 도약이 득이 될지 실이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문 전 대표의 독주체제를 깨며 판을 흔든다는 점은 반가운 일이지만, 일각에서는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이 꾸준히 20%대를 유지한다면서 "이 시장은 문 전 대표가 아닌 다른 야권 대선주자들의 지지층을 빼앗아 가는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 野 '몸조심'에도 경선룰에 관심…통합경선론 등 변수는 = 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아직은 조기대선 논의를 시작하지 않는 것은 물론 조기대선이나 경선룰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것 자체를 경계하는 듯한 조짐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지금은 경선 룰이나 일정을 논의할 때가 아니다. 아직 헌법재판소 판결도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며 "자칫 대권을 가져가기 위해 탄핵을 했다는 비난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선주자들 역시 대권행보를 하기보다는 촛불민심과 함께하며 탄핵정국 수습에 매진하는 모습입니다.
당내 경선 역시 헌재가 탄핵안을 인용한 뒤에야 시작될 전망입니다. 대선 한달 전부터가 공식 선거운동 기간인 만큼 경선은 인용 직후부터 한달 가량 치러질 전망입니다.
다만 경선룰 등은 그전에 논의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늦어질 경우 오히려 '졸속 경선' 비판이 나올 수 있으므로, 사전에 충분히 후보들의 의견을 듣고서 공정한 룰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실제로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조만간 룰 조정 등 경선 논의를 위한 실무단 TF가 꾸려질 수 있다"고 귀띔했습니다.
이 경우 선거인단 구성을 어떻게 할지나 결선투표제를 도입할지 등이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2012년 대선의 경우 민주당은 100% 국민경선으로 치렀으며, 모바일투표가 가능했고 결선투표제도 도입했습니다.
일부 후보들은 경선 일정이 촉박한 만큼 이 룰을 그대로 준용하자는 주장도 나오지만, 반론도 적지않아 진통이 예상됩니다.
룰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후보들의 행보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룰이 만들어진다면, 다른 대권후보가 당 밖으로 뛰쳐나갈 수 있다는 전망도 있으며, 이런 가능성을 고려해 아예 제3지대에서 야권의 모든 후보가 모여서 경선을 치르자는 '야권 통합경선론'이 다시 탄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현직 사퇴의 부담이 있는 지자체장들을 비록해 일부 후보들의 경우에는 지지율과 률의 유불리 등을 고려해 대권 도전을 다음으로 미룰 수 있다는 관측도 벌써 제기되고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야권은 자연스럽게 조기대선 국면으로 진입하는 모양새입니다.
대선 시기는 알수 없지만 이르면 내년 봄 대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일각에서는 실무선에서도라도 경선 룰이나 일정 등 조율을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와 조기대선 분위기를 더욱 달아오르게 하고 있습니다.
◇ '이재명 현상' 계속될까…경쟁구도 재편 촉각 = 야권의 대선 구도에서 초미의 관심사는 이번 탄핵 정국에서 이슈로 떠오른 '이재명 현상'이 계속될지 여부입니다.
이재명 성남시장의 경우 6~8일 전국의 성인남녀 1천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갤럽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에서 18%를 기록, 공동 1위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20%),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20%)와 사실상의 3강체제를 구축했습니다.
이 시장은 지난 10월 갤럽조사(1천26명,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서 5%를 받았던 것에 비하면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무려 13%포인트가 급상승한 셈입니다.
그 사이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같은 기간 9%에서 8%로 소폭 하락하는 등 다른 주자들은 다소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야권에서는 탄핵안 가결 후에도 이 시장의 거침없는 상승세가 이어질지, 아니면 '반짝효과'에 머무를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이 시장이 촛불민심을 가장 잘 대변했다. 당분간 촛불민심이 정국을 끌고 갈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지지율도 탄탄히 자리를 잡을 것"이라고 봤습니다.
반면 다른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퇴진을 외치는 것과 다음 정권에서의 비전을 보여주는 것은 다른 문제"라면서 "지금의 파죽지세를 이어가긴 힘들 것"이라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 시장의 약진은 다른 후보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야권에서 그동안 독주를 해왔던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에게는 이 시장의 존재가 충분히 위협적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다만 문 전 대표 측에서는 이 시장의 상승세가 결국은 일반 유권자들 사이에서 민주당 전체의 '파이'를 키우는 것인데다 그동안 문 전 대표에 집중된 견제를 분산시킨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라는 의견도 나옵니다.
안 전 대표나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의원 등 다른 잠룡들에게도 이 시장의 도약이 득이 될지 실이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문 전 대표의 독주체제를 깨며 판을 흔든다는 점은 반가운 일이지만, 일각에서는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이 꾸준히 20%대를 유지한다면서 "이 시장은 문 전 대표가 아닌 다른 야권 대선주자들의 지지층을 빼앗아 가는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 野 '몸조심'에도 경선룰에 관심…통합경선론 등 변수는 = 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아직은 조기대선 논의를 시작하지 않는 것은 물론 조기대선이나 경선룰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것 자체를 경계하는 듯한 조짐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지금은 경선 룰이나 일정을 논의할 때가 아니다. 아직 헌법재판소 판결도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며 "자칫 대권을 가져가기 위해 탄핵을 했다는 비난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대선주자들 역시 대권행보를 하기보다는 촛불민심과 함께하며 탄핵정국 수습에 매진하는 모습입니다.
당내 경선 역시 헌재가 탄핵안을 인용한 뒤에야 시작될 전망입니다. 대선 한달 전부터가 공식 선거운동 기간인 만큼 경선은 인용 직후부터 한달 가량 치러질 전망입니다.
다만 경선룰 등은 그전에 논의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늦어질 경우 오히려 '졸속 경선' 비판이 나올 수 있으므로, 사전에 충분히 후보들의 의견을 듣고서 공정한 룰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실제로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조만간 룰 조정 등 경선 논의를 위한 실무단 TF가 꾸려질 수 있다"고 귀띔했습니다.
이 경우 선거인단 구성을 어떻게 할지나 결선투표제를 도입할지 등이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2012년 대선의 경우 민주당은 100% 국민경선으로 치렀으며, 모바일투표가 가능했고 결선투표제도 도입했습니다.
일부 후보들은 경선 일정이 촉박한 만큼 이 룰을 그대로 준용하자는 주장도 나오지만, 반론도 적지않아 진통이 예상됩니다.
룰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후보들의 행보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룰이 만들어진다면, 다른 대권후보가 당 밖으로 뛰쳐나갈 수 있다는 전망도 있으며, 이런 가능성을 고려해 아예 제3지대에서 야권의 모든 후보가 모여서 경선을 치르자는 '야권 통합경선론'이 다시 탄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현직 사퇴의 부담이 있는 지자체장들을 비록해 일부 후보들의 경우에는 지지율과 률의 유불리 등을 고려해 대권 도전을 다음으로 미룰 수 있다는 관측도 벌써 제기되고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