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백두산 화산폭발 생각보다 컸다…황 방출량으로 규모측정
입력 2016-12-01 04:02 
백두산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화산 쇄설암의 모습 <사진제공=사이언스 어드밴시스>

북한과 미국, 영국 과학자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진이 백두산 화산 폭발 규모가 기존에 생각했던 것보다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카일라 이아코비노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와 평양지진국, 영국 캠브릿지대 공동 연구진은 946년 백두산 화산 폭발로 방출된 ‘황의 양이 1815년 일어난 인도네시아 탐보라 화산폭발보다 규모가 큰 폭발이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지난달 30일자에 게재됐다.
1815년 발생한 탐보라 화산폭발로 발생한 화산재는 상공 500km까지 뿜어져 나간 뒤 반경 600km 지역을 3일 동안 캄캄한 밤으로 만들었다. 폭발 소리는 2500km 밖에서도 들렸을 정도였다. 화산 폭발로 하늘을 뒤덮은 화산재는 햇빛이 지면에 도달하는 것을 막아 지구의 기온을 떨어트린다. 이 화산 폭발로 약 8만여명이 사망했으며 지구의 평균기온이 약 1도 하락했다. 이듬해 여름이 오지 않아 미국과 유럽 지역 곡물생산이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과거 연구에 따르면 백두산 폭발은 이보다 큰 규모일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하지만 북극 빙하에 포함되어 있는 황의 양이 적어 이를 뒷받침하기 힘들었다.
북한과 미국, 영국 연구진은 백두산 화산 분출로 만들어진 암석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의 양을 분석했다. 그 결과 백두산 폭발로 인해 공기 중으로 방출된 황의 양은 약 4500만 t으로 분석됐다. 기존에 알려졌던 황의 양보다 약 22배 이상 많은 수준이며 탐보라 화산 폭발 당시 발생한 황의 양보다 많다. 권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백두산 속에 있는 암석과 마그마가 지표에 노출되면서 굳은 ‘화산유리 등에 녹아있는 가스 성분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도 화산 폭발 당시 발생하는 기체는 지구의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이번 연구는 향후 보다 정교한 화산 폭발 시뮬레이션을 만들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과 서방 과학자들의 공동연구는 지난 2011년 학술지 ‘네이처에 소개되면서 관심을 끌었다. 공동 연구진은 올해 4월, 국제 학술지에 백두산 아래 1256㎢에 달하는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논문을 발표한바 있다. 이 규모는 서울시의 2배에 달한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