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연말에 더 불티 ‘상품권’시장…제화업계의 남모를 속앓이
입력 2016-11-30 13:31  | 수정 2016-11-30 13:37
서울 명동 사채시장이나 상품권 교환처 등에서는 10~30% 가까이 할인해 구두 상품권을 비롯 각종 상품권을 매매하기도 한다.

연말연시 선물용으로 특수기를 맞은 구두 상품권을 놓고 제화업계가 남모를 속앓이를 하고 있다. 가족, 지인에게 선물하기 편하고 제품을 기존가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에 소비자들이 선호하지만 회사 입장에서는 ‘잠재적 폭탄을 안은 격이기 때문이다.
30일 제화업계에 따르면 구두 상품권 시장은 2600억~3000억원 사이로 추정된다. 발행 규모는 사실상 업계에서 극비사항으로 인식돼 실제 규모는 이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상품권은 발행한 만큼 매출로 잡을 수 있고 모객효과도 좋아 제화업체들의 의존도가 높다. 반면에 서울 명동 사채시장이나 상품권 교환처 등에서 액면가보다 낮게 거래돼 회사 부채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 회사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양면성을 지녔다.
현재 업계 1위인 금강제화는 자사 구두 상품권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형지에스콰이아와 엘칸토는 상품권 발행을 중단한 상태다. 이들 상품권은 시중 매장에서는 물론 사채 매매시장에서 더 이상 유통되지 않는다. 양사는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상품권과 어음남발로 인해 극심한 재정난과 경영위기를 겪은 이후 각각 패션그룹형지와 이랜드리테일에 인수·합병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패션그룹형지는 지난해 6월 에스콰이아를 인수한 후 ‘상품권 이라는 예기치 않은 복병을 만났다. 시장에서는 최대 반값에 거래되던 구두 상품권이 전체 매출 60~70% 가까이를 차지할 만큼 상품권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판매 촉진과 소비자 끌기용으로 상품권과 어음을 남발했던 것이 인수합병 이후 부채가 되어 돌아오는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형지는 지난해 상반기부터 액면가보다 싼 값에 거래되는 상품권을 청산하기로 결정하고 기존 상품권 회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연말연시 선물용 상품권을 찾는 소비자 수요가 많아 현장에서는 남모를 고민을 하고 있다.
일부 매장 관계자는 제화업계에서 구두 상품권은 오랜 관행처럼 자리잡아 회사지침이 내려와도 11월께 들어서면 업체 대형 주문을 비롯한 소비자 문의가 이어진다”면서 구두 상품권을 청산하려는 회사와 달리 소비자 인식은 많이 바뀐 것 같진 않다”고 말했다.
엘칸토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이랜드 관계자는 엘칸토를 인수하고 보니 상품권 발행 규모를 도저히 파악할 수 없을 만큼 무분별하게 발행되고 있었다”며 신규 발행을 전면 중단하고 기존 발행분만 회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랜드는 제화시장에 관행처럼 이어온 상품권 판매를 업계 처음으로 정리하고 재무 안정성 확보에 주력했다. 그 결과 인수 당시인 2011년 191억 원에 불과했던 매출은 지난해 118% 증가한 416억 원을 기록했다. 2013년 흑자전환 후 영업이익도 매년 상승세다. 50여 개에 그치던 매장은 올해 118여 개까지 늘었다. 인수 이후 ‘상품권과의 전쟁을 선포한 지 6년만의 성과인셈이다.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상품권을 발행하는 금강제화는 필요는 하다”는 입장이다. 연말과 신학기, 명절 등 성수기를 맞는 업계 특성상 상품권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는 설명이다. 특히 판매촉진용이나 이벤트 선물용 등 대규모 주문이 밀려들기 때문에 매출 보전에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5~6명으로 구성된 특판팀이 상품권 판매 등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금강제화 관계자는 구두 상품권을 많이 발행해 매출 목표를 미리 확보하고 외형 부풀리기 식 경영 방식을 지양한다”면서 다만 선물용과 대규모 판매 촉진용으로는 상품권이 지닌 장점이 분명하기 때문에 재고 수량을 확인하면서 제품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슬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