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올 들어 7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12월 인상을 강력히 시사했다. 특히 물가 상승세를 이례적으로 거듭 언급한 게 이날의 하이라이트였다.
연준은 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 기준금리인 0.25∼0.50%를 유지하기로 했다. 연준은 성명서에서 기준금리 인상 근거는 계속 강화되고 있다”면서도 연준 목표치에 부합하는 ‘일부(some) 추가적인 증거를 기다리기로 했다”고 동결 배경을 밝혔다. 약간의 추가 신호만 확인되면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는 12월 인상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월가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11월 성명서를 ‘매파적 색채로 만든 부분은 물가에 대한 연준의 인식이었다. 연준은 연준의 목표(2%)에는 못미치지만 올해 초부터 물가가 어느 정도 상승했다”고 진단하는가 하면 시장 기준 인플레이션 지표가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국채금리에 반영된 기대인플레이션이 올랐다는 얘기다. 바클레이즈는 12월 금리인상 때 언급할 것으로 보았던 인플레이션 상향 평가가 이번 회의 때 언급된 건 예상 밖”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연준은 또 ‘에너지가격 하락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낮게 유지될 것이라는 문구도 이날 회의에서 삭제했다.
연준의 통화정책 목표는 ‘고용 극대화와 ‘2% 인플레이션 달성이다. 실업률과 신규 일자리 등의 고용지표는 작년 하반기부터 연준의 기대치에 부합해 작년 12월 금리인상의 주된 근거가 됐지만 물가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연준의 애를 태웠다. 그런데 물가지표 마저 연준이 기대하는 2%를 향해 우상향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통화정책 정상화의 두 축이 완성돼 가고 있음을 뜻한다.
실제로 연준의 주요 물가지표로 간주되는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 부문 제외)는 지난 9월 1.7%(전년 대비) 올랐고 전체 PCE 물가지수는 2014년 11월 이후 최대인 1.2%의 상승세를 보였다. 9월 소비자물가 또한 최근 5개월간 최대폭인 0.3% 올랐다.
월가에선 오는 12월 13~14일 FOMC 회의 전까지 6주간 별다른 이상 징후가 없으면 12월 금리인상이 확실시된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2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이 미국 국채선물 가격 동향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12월 금리인상 확률은 71.5%까지 올랐다. 이안 셰퍼드슨 팬텀매크로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에 대선에서 트럼프가 승리하거나 외부 지정학적·시장 충격이 발생할 때만 12월 금리인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NN도 12월 금리인상이 보장된건 아니다”면서 공화당 후보 트럼프가 예상을 깨고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국제금융시장이 흔들려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고 전했다.
오는 8일로 다가온 미 대선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이 승리한다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는 반면 트럼프 당선은 경제 불확실성을 가중시켜 12월 인상을 무산시킬 수 있는 재료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뉴욕 = 황인혁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