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필리핀 현지 중형 저축은행 '웰스디벨롭먼트뱅크' 인수를 확정 지으면서 동남아시아 금융영토 확장에 더 큰 힘을 받게 됐다. 우리은행은 필리핀 금융당국으로부터 웰스디벨롭먼트뱅크 지분 51% 인수에 대한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인수금액은 300억원 정도로 크지 않지만 2014년 필리핀이 금융시장을 개방한 이후 외국계 은행이 현지 금융사를 인수한 첫 사례로 필리핀 영업 확대 발판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우리은행은 인수한 웰스디벨롭먼트뱅크를 모회사인 빅살그룹과 합작사 형태로 당분간 운영할 방침이다. 빅살그룹은 회원이 100만명인 필리핀 4위 유통회사로 필리핀 전역에 대형 백화점과 슈퍼마켓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은행은 이 회사와 연계한 신용카드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2020년까지 필리핀 현지 카드회원 130만명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16개인 웰스디벨롭먼트뱅크 네트워크를 매년 3~4개씩 늘려 나갈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 상업은행으로 전환시켜 필리핀 10위권 은행으로 도약시킬 방침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인수 이후 우량 기업 종업원 대출 등 다양한 여수신 상품을 출시하고 현지 보험사와 연계한 방카슈랑스 사업은 물론 한국인들이 밀집한 지역에 '코리아데스크'를 설치해 환전·송금·여수신 업무 등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이번 필리핀 저축은행 인수 완료를 통해 총 25개국 234개 해외 네트워크를 확보하게 됐다. 신한(20개국·147개) KEB하나(24개국·135개) KB국민(11개국·18개) 등 경쟁사보다 훨씬 많은 숫자로 아시아 주요 은행 중에서도 9위권에 해당하는 규모다.
여타 국내 은행들이 해외 현지에 지점 개설 형태로 진입하는 것과 달리 우리은행은 인수·합병(M&A)을 통해 단기간에 해외 성장 기반을 급속도로 넓히고 있다는 게 시장의 분석이다. 우리은행은 동남아에서 금융사 추가 인수를 통해 연말까지 410여 개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아시아 내 7위(해외 네트워크 수 기준)까지 올라설 계획이다.
또 유럽연합(EU) 지역 영업력 강화를 위해 조만간 독일 현지법인과 폴란드 사무소를 신설하고 한국 기업들이 다수 포진한 멕시코 지역 신규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3분기 기준으로 전체 순이익에서 12%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글로벌 수익 비중을 2020년 3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박준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수금액은 300억원 정도로 크지 않지만 2014년 필리핀이 금융시장을 개방한 이후 외국계 은행이 현지 금융사를 인수한 첫 사례로 필리핀 영업 확대 발판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우리은행은 인수한 웰스디벨롭먼트뱅크를 모회사인 빅살그룹과 합작사 형태로 당분간 운영할 방침이다. 빅살그룹은 회원이 100만명인 필리핀 4위 유통회사로 필리핀 전역에 대형 백화점과 슈퍼마켓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은행은 이 회사와 연계한 신용카드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2020년까지 필리핀 현지 카드회원 130만명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16개인 웰스디벨롭먼트뱅크 네트워크를 매년 3~4개씩 늘려 나갈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 상업은행으로 전환시켜 필리핀 10위권 은행으로 도약시킬 방침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인수 이후 우량 기업 종업원 대출 등 다양한 여수신 상품을 출시하고 현지 보험사와 연계한 방카슈랑스 사업은 물론 한국인들이 밀집한 지역에 '코리아데스크'를 설치해 환전·송금·여수신 업무 등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이번 필리핀 저축은행 인수 완료를 통해 총 25개국 234개 해외 네트워크를 확보하게 됐다. 신한(20개국·147개) KEB하나(24개국·135개) KB국민(11개국·18개) 등 경쟁사보다 훨씬 많은 숫자로 아시아 주요 은행 중에서도 9위권에 해당하는 규모다.
여타 국내 은행들이 해외 현지에 지점 개설 형태로 진입하는 것과 달리 우리은행은 인수·합병(M&A)을 통해 단기간에 해외 성장 기반을 급속도로 넓히고 있다는 게 시장의 분석이다. 우리은행은 동남아에서 금융사 추가 인수를 통해 연말까지 410여 개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아시아 내 7위(해외 네트워크 수 기준)까지 올라설 계획이다.
또 유럽연합(EU) 지역 영업력 강화를 위해 조만간 독일 현지법인과 폴란드 사무소를 신설하고 한국 기업들이 다수 포진한 멕시코 지역 신규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3분기 기준으로 전체 순이익에서 12%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글로벌 수익 비중을 2020년 3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박준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