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전통 구도심인 동래구 명륜동 명륜4구역을 재개발하는 '명륜 자이'는 최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청약통장이 무려 18만1152건이나 몰려 올해 최고치인 523대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입주 후에도 한동안 기반시설이 부족해 불편함이 많은 택지지구와 달리 단지에서 500m 거리에 교통·교육·편의시설 등 생활 인프라스트럭처가 촘촘히 잘 깔려 있어 부산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는 평가다.
지방 구도심 재건축·재개발 아파트가 전성기를 맞고 있다. 정부기관이 이전한 지방 혁신도시에 새 아파트가 들어서 인구를 빨아들이면서 한때 지역 대표 주거지였던 구도심의 노후화가 심각해지자 도시 재생 차원에서 재개발·재건축이 주목을 받는 것이다. 혁신도시발(發) 풍선 효과다. 특히 정부가 2014년부터 3년간 신규 택지개발 중단에 이어 지난달 가계부채 대책의 하나로 공공택지 공급 제한을 들고 나오면서 건설사들이 택지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구도심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는 몸값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지방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중견사들은 사업지를 확보하기 위해 구도심으로 발 빠르게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해부터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뛰어든 중흥건설은 나주혁신도시가 자리 잡으며 쇠퇴하는 동구 계림8구역 재개발(4530억원)을 호반건설과 손잡고 수주한 데 이어 광산구 송정주공 재건축(2660억원), 북구 임동2구역 재개발(1110억원) 등 광주 지역 구도심 정비사업을 사실상 '싹쓸이'했다.
중흥건설은 올 초 부산 범천1동 재개발 사업(3200억원)도 따냈다. 회사 관계자는 "혁신도시에 자극을 받아 구도심 주민들의 정비사업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며 "올해 1조원 수주액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EG건설도 올 하반기부터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본격화했다. EG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1만가구 이상 분양하며 'EG the1' 브랜드 인지도를 쌓은 만큼 사업성이 밝은 구도심 위주로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도시가 조성된 지방은 호황세인 주택경기에 힘입어 재개발·재건축 물량도 올해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혁신도시가 있는 지방 10곳에 대한 재건축·재개발 공급 물량은 3만4095가구로 통계를 집계한 2000년 이후 가장 많다.
하지만 부산과 세종, 제주를 제외하면 지방 재건축·재개발 시장 전망이 마냥 밝지만은 않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아파트 건축비는 3.3㎡당 400만~500만원대로 고정적이어서 주변 시세가 받쳐줘야 분양가를 높게 책정할 수 있어 정비사업이 성공할 수 있다"며 "지방 집값은 2011년부터 오르기 시작했지만 '6년 상승, 4년 하락'을 반복하는 10년 주기설이나 지금까지 공급된 주택량 등을 감안하면 하락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안명숙 우리은행 고객자문센터장은 "대구처럼 혁신도시도 시장 열기가 과거보다 꺾이고 있는 데다 미분양이 쌓여가는 점도 장기적으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영신 기자 / 이윤식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방 구도심 재건축·재개발 아파트가 전성기를 맞고 있다. 정부기관이 이전한 지방 혁신도시에 새 아파트가 들어서 인구를 빨아들이면서 한때 지역 대표 주거지였던 구도심의 노후화가 심각해지자 도시 재생 차원에서 재개발·재건축이 주목을 받는 것이다. 혁신도시발(發) 풍선 효과다. 특히 정부가 2014년부터 3년간 신규 택지개발 중단에 이어 지난달 가계부채 대책의 하나로 공공택지 공급 제한을 들고 나오면서 건설사들이 택지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구도심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는 몸값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중흥건설은 올 초 부산 범천1동 재개발 사업(3200억원)도 따냈다. 회사 관계자는 "혁신도시에 자극을 받아 구도심 주민들의 정비사업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며 "올해 1조원 수주액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EG건설도 올 하반기부터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본격화했다. EG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1만가구 이상 분양하며 'EG the1' 브랜드 인지도를 쌓은 만큼 사업성이 밝은 구도심 위주로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도시가 조성된 지방은 호황세인 주택경기에 힘입어 재개발·재건축 물량도 올해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혁신도시가 있는 지방 10곳에 대한 재건축·재개발 공급 물량은 3만4095가구로 통계를 집계한 2000년 이후 가장 많다.
하지만 부산과 세종, 제주를 제외하면 지방 재건축·재개발 시장 전망이 마냥 밝지만은 않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아파트 건축비는 3.3㎡당 400만~500만원대로 고정적이어서 주변 시세가 받쳐줘야 분양가를 높게 책정할 수 있어 정비사업이 성공할 수 있다"며 "지방 집값은 2011년부터 오르기 시작했지만 '6년 상승, 4년 하락'을 반복하는 10년 주기설이나 지금까지 공급된 주택량 등을 감안하면 하락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안명숙 우리은행 고객자문센터장은 "대구처럼 혁신도시도 시장 열기가 과거보다 꺾이고 있는 데다 미분양이 쌓여가는 점도 장기적으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영신 기자 / 이윤식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