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 단일화 주호영 후보…與 전대 나흘 앞두고 판세 급변
새누리당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8·9 전당대회를 나흘 앞두고 두 비박(비박근혜)계 후보의 단일화로 판세가 급변했습니다.
정병국·주호영 후보가 여론조사를 거쳐 5일 충남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3차 합동연설 직후 주 후보를 단일 후보로 발표, 전대 구도는 비박계 주 후보와 이정현·이주영·한선교(기호순) 후보의 '4파전'으로 재편됐습니다.
이정현 후보는 현 정부 청와대 정무·홍보수석비서관을 지낸 친박(친박근혜)계 주류로 꼽히고, 이주영 후보는 범친박계지만 중립, 한선교 후보도 '원박(원조 친박)'이지만 역시 현재는 중립으로 통합니다.
결국 비박계 단일 후보와 친박계 또는 중립 성향 후보의 '1 대 3 대결'이 된 셈입니다.
조직력에서는 친박계가 앞선다는 평가가 대체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부산·경남에 일부 수도권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김무성 전 대표가 단일 후보에 대한 공개적 지지를 선언한 만큼 이를 상쇄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됩니다.
또 정 후보와 주 후보의 지역구가 각각 경기(여주·양평)와 대구(수성을)로, 유권자가 가장 많은 권역이어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주 후보는 이날 단일화 발표 기자회견에서 "당을 개혁하고 화합과 혁신으로 이끌 후보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결과"라며 "당원과 국민에게 저의 간절함을 절박하게 호소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합동연설에서도 "(총선에서) 참패한 건 친박 세력의 오만과 공천 파동 때문"이라며 "사과하고 반성해야 할 친박 세력이 다시 당을 운영한다고 나선다"고 '친박 패권주의' 청산을 위해 비박계 단일화를 이뤄냈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주 후보에게 무릎을 꿇은 정 후보도 "오로지 당이 혁신해 국민 정당을 만든다는 일념으로 함께 했다"며 "국민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혁신 세력이 연합했다"고 말했습니다.
친박계는 전국 투표가 시작되는 오는 7일 이전 대표주자를 정해 세력 결집을 시도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아직 이정현·이주영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입니다.
이주영 의원은 TBS 라디오에서 비박계 단일화에 대해 "계파 대결구도를 만드는 데 제가 나설 수는 없다"고 이정현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그는 합동연설에서 "지금 우리는 '단일화 쇼'를 보고 있다. 오직 (비박계) 계파 승리를 위한 대국민 '막장 드라마'"라며 정·주 후보의 단일화를 맹비난한 한편 "계파 단일화를 조장하는 '손'은 총선을 망치더니 이제 대선까지 망치려 드느냐"고 후보 단일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진 김 전 대표도 비판했습니다.
한선교 의원 역시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비박계가 계파 청산을 한다더니 결국은 계파 이기주의에 불과하다"며 "어떤 상황이든 나는 당을 확 바꾸기 위해 끝까지 남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어차피 친박계는 한 사람으로 정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비박계 단일화에 맞서 이길 수 있는 후보를 밀겠다"며 "주말 전까지 여러 경로를 통해 연락을 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상황 변화가 큰 만큼 이정현·이주영 후보가 막판에 담판 등을 통해 비박계에 맞서지 않겠느냐는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정현 후보는 연설에서 "호남 출신이지만, 새누리당에서 당 대표가 되면 그것이 '기적'이라고 '호남 대표론'을 역설하는 동시에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상황이 변했다. 여러 가지 고려를 한 번 해야 하지 않나"라고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이렇게 비박계 단일화와 친박계의 세력 결집 기류가 형성돼 양측이 화력을 끌어올리면서 승부는 예측불허의 안갯속에 빠졌습니다.
특히 이번 전대는 당 대표를 분리 선출하고 '1인 1표' 방식으로 이뤄져 당협위원장의 영향력이 커졌습니다.
기존 '1인 2표' 방식에서 한 표는 소위 '오더'(지시)에 따라 이뤄져도 나머지 한 표는 당원이 자율적으로 행사해 의외의 결과를 낳기도 했지만, 이번에는 그런 변수가 줄었습니다.
친박계는 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에 당이 협력자가 돼야 한다는 데 당원의 공감대가 강하다며 승리를 자신하지만, 비박계는 친박 패권주의로 여권이 위기에 빠진 만큼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론은 새로운 세력을 바란다고 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새누리당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8·9 전당대회를 나흘 앞두고 두 비박(비박근혜)계 후보의 단일화로 판세가 급변했습니다.
정병국·주호영 후보가 여론조사를 거쳐 5일 충남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3차 합동연설 직후 주 후보를 단일 후보로 발표, 전대 구도는 비박계 주 후보와 이정현·이주영·한선교(기호순) 후보의 '4파전'으로 재편됐습니다.
이정현 후보는 현 정부 청와대 정무·홍보수석비서관을 지낸 친박(친박근혜)계 주류로 꼽히고, 이주영 후보는 범친박계지만 중립, 한선교 후보도 '원박(원조 친박)'이지만 역시 현재는 중립으로 통합니다.
결국 비박계 단일 후보와 친박계 또는 중립 성향 후보의 '1 대 3 대결'이 된 셈입니다.
조직력에서는 친박계가 앞선다는 평가가 대체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부산·경남에 일부 수도권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김무성 전 대표가 단일 후보에 대한 공개적 지지를 선언한 만큼 이를 상쇄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됩니다.
또 정 후보와 주 후보의 지역구가 각각 경기(여주·양평)와 대구(수성을)로, 유권자가 가장 많은 권역이어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주 후보는 이날 단일화 발표 기자회견에서 "당을 개혁하고 화합과 혁신으로 이끌 후보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결과"라며 "당원과 국민에게 저의 간절함을 절박하게 호소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합동연설에서도 "(총선에서) 참패한 건 친박 세력의 오만과 공천 파동 때문"이라며 "사과하고 반성해야 할 친박 세력이 다시 당을 운영한다고 나선다"고 '친박 패권주의' 청산을 위해 비박계 단일화를 이뤄냈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주 후보에게 무릎을 꿇은 정 후보도 "오로지 당이 혁신해 국민 정당을 만든다는 일념으로 함께 했다"며 "국민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혁신 세력이 연합했다"고 말했습니다.
친박계는 전국 투표가 시작되는 오는 7일 이전 대표주자를 정해 세력 결집을 시도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아직 이정현·이주영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입니다.
이주영 의원은 TBS 라디오에서 비박계 단일화에 대해 "계파 대결구도를 만드는 데 제가 나설 수는 없다"고 이정현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그는 합동연설에서 "지금 우리는 '단일화 쇼'를 보고 있다. 오직 (비박계) 계파 승리를 위한 대국민 '막장 드라마'"라며 정·주 후보의 단일화를 맹비난한 한편 "계파 단일화를 조장하는 '손'은 총선을 망치더니 이제 대선까지 망치려 드느냐"고 후보 단일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진 김 전 대표도 비판했습니다.
한선교 의원 역시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비박계가 계파 청산을 한다더니 결국은 계파 이기주의에 불과하다"며 "어떤 상황이든 나는 당을 확 바꾸기 위해 끝까지 남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어차피 친박계는 한 사람으로 정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비박계 단일화에 맞서 이길 수 있는 후보를 밀겠다"며 "주말 전까지 여러 경로를 통해 연락을 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상황 변화가 큰 만큼 이정현·이주영 후보가 막판에 담판 등을 통해 비박계에 맞서지 않겠느냐는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정현 후보는 연설에서 "호남 출신이지만, 새누리당에서 당 대표가 되면 그것이 '기적'이라고 '호남 대표론'을 역설하는 동시에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상황이 변했다. 여러 가지 고려를 한 번 해야 하지 않나"라고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이렇게 비박계 단일화와 친박계의 세력 결집 기류가 형성돼 양측이 화력을 끌어올리면서 승부는 예측불허의 안갯속에 빠졌습니다.
특히 이번 전대는 당 대표를 분리 선출하고 '1인 1표' 방식으로 이뤄져 당협위원장의 영향력이 커졌습니다.
기존 '1인 2표' 방식에서 한 표는 소위 '오더'(지시)에 따라 이뤄져도 나머지 한 표는 당원이 자율적으로 행사해 의외의 결과를 낳기도 했지만, 이번에는 그런 변수가 줄었습니다.
친박계는 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에 당이 협력자가 돼야 한다는 데 당원의 공감대가 강하다며 승리를 자신하지만, 비박계는 친박 패권주의로 여권이 위기에 빠진 만큼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론은 새로운 세력을 바란다고 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