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뇌전증 환자…병 유무 아닌 사후관리에 초점 맞춰야
지난달 31일 부산 해운대에서 17명의 사상자를 일으킨 '외제 차 광란의 질주' 사건으로 인해 뇌전증에 대한 대중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과거 '간질'로 불리던 뇌전증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덩달아 환자 수도 늘 것으로 전망되는 질환으로 아직 뚜렷한 치료법은 없는 상태입니다.
이병인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뇌전증학회 명예회장)는 "전체 뇌전증 환자의 최대 20%는 적극적인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로 분류된다"고 지난 2일 밝혔습니다.
이 교수에 따르면 뇌전증 환자의 50~60%는 약물치료로 정상인과 마찬가지 삶을 살 수 있고 나머지 20~30% 역시 '항뇌전증 약제 복용'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뇌전증 5명 중 1명은 '난치성 질환'에 해당하므로 현재로써는 완치 판정을 내릴 만한 치료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입니다.
뇌전증 유병률은 0.7%로 우리나라에서는 약 30만 명 정도가 현재 뇌전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교수의 주장대로라면 이 중 약 6만명이 난치성 뇌전증을 앓고 있는 셈입니다.
이 같은 뇌전증 치료법에 대해 이 교수는 "뇌전증 치료는 완치라는 개념보다는 발작의 조절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며 "뇌전증 진단의 첫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확하고 자세한 병력청취"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전문가와 문진 이후에 뇌전증 진단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뇌파(EEG) 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brain MRI)을 시행하게 됩니다.
이 교수는 "1가지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발작이 재발하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게는 수술적 치료, 전기자극술, 식이요법 등 다양한 치료방법을 동원해 최대한 발작 조절을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이번 해운대 대규모 교통사고로 뇌전증 환자에 대한 편견이 심화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우려감을 나타냈습니다.
이 교수는 "사후 대책 논의는 뇌전증의 유무가 아니라 뇌전증을 어떻게 잘 관리해야 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며 "뇌전증 환자 중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약물로 잘 관리하고 발작만 없으면 충분히 정상인과 마찬가지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지난달 31일 부산 해운대에서 17명의 사상자를 일으킨 '외제 차 광란의 질주' 사건으로 인해 뇌전증에 대한 대중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과거 '간질'로 불리던 뇌전증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덩달아 환자 수도 늘 것으로 전망되는 질환으로 아직 뚜렷한 치료법은 없는 상태입니다.
이병인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뇌전증학회 명예회장)는 "전체 뇌전증 환자의 최대 20%는 적극적인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로 분류된다"고 지난 2일 밝혔습니다.
이 교수에 따르면 뇌전증 환자의 50~60%는 약물치료로 정상인과 마찬가지 삶을 살 수 있고 나머지 20~30% 역시 '항뇌전증 약제 복용'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뇌전증 5명 중 1명은 '난치성 질환'에 해당하므로 현재로써는 완치 판정을 내릴 만한 치료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입니다.
뇌전증 유병률은 0.7%로 우리나라에서는 약 30만 명 정도가 현재 뇌전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교수의 주장대로라면 이 중 약 6만명이 난치성 뇌전증을 앓고 있는 셈입니다.
이 같은 뇌전증 치료법에 대해 이 교수는 "뇌전증 치료는 완치라는 개념보다는 발작의 조절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며 "뇌전증 진단의 첫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확하고 자세한 병력청취"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전문가와 문진 이후에 뇌전증 진단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뇌파(EEG) 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brain MRI)을 시행하게 됩니다.
이 교수는 "1가지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발작이 재발하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게는 수술적 치료, 전기자극술, 식이요법 등 다양한 치료방법을 동원해 최대한 발작 조절을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이번 해운대 대규모 교통사고로 뇌전증 환자에 대한 편견이 심화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우려감을 나타냈습니다.
이 교수는 "사후 대책 논의는 뇌전증의 유무가 아니라 뇌전증을 어떻게 잘 관리해야 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며 "뇌전증 환자 중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약물로 잘 관리하고 발작만 없으면 충분히 정상인과 마찬가지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