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목받는 수도권 신도시에서 분양사업에 나선 국내 굴지의 시행사 A업체는 생각지 못한 난관에 부딪혔다. 계약한 지 일주일 안에 모두 팔려나갈 정도로 분위기가 좋았지만 당초 중도금 집단대출을 받기로 협의했던 은행이 갑자기 '본사 지침'이라며 대출을 거부하고 나선 것이다.
A사가 분양한 것은 전용면적 50~70㎡대로 실수요자를 겨냥한 주거형 오피스텔, 즉 아파텔이었다. 은행이 문제 삼은 것은 바로 '오피스텔'이라는 부분이었다. A사 관계자는 "계약이 100% 끝난 곳인데도 단순히 오피스텔이란 이유로 제1금융권 대출을 거부당했다"고 토로했다. 결국 이 회사는 울며 겨자 먹기로 2금융권에 대출을 맡길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계약자들은 당초 예상보다 더 많은 이자를 내게 됐다.
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아파트와 비슷하면서도 가격은 저렴해 실수요자들에게 아파트 대체 상품으로 각광받는 아파텔이 제1금융권의 중도금 집단대출 대상에서 소외되고 있다. 사실상 대부분 은행이 지난해 말부터 '오피스텔 대출 금지'에 나서면서 많은 사업장이 신용금고 등 제2금융권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수도권 신도시에서 최근 성공적으로 아파텔 분양을 마무리한 B사 역시 1000실에 달하는 물량을 '완판'한 뒤 제1금융권을 대상으로 중도금 대출을 논의했지만 '한도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대출의 일부만 은행에 맡기고, 절반이 넘는 나머지는 2금융권 상품을 이용해야만 했다.
은행들이 이처럼 중도금 집단대출에 소극적인 것은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면서 은행권을 향해 '무언의 압박'에 나선 결과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 관계자는 "정부는 '규제는 없다. 대출은 은행이 자율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부채 감축에 대한 금융당국의 신호가 너무 확고해 은행들이 알아서 대출을 죄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아파텔은 임대사업을 겨냥한 일반 소형 오피스텔보다 실수요자 계약 비율이 높아 사업구조가 안정적인데도 오피스텔이라는 이유로 위험 부담이 높은 수익형 부동산으로 분류돼 덩달아 차별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부 은행에서는 아파텔 대출을 둘러싸고 지점과 본사 간 갈등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이 100% 끝난 만큼 남는 장사라는 판단에 지점에서 대출을 맡으려고 해도 본사에서 내부 지침이라며 최종 승인을 해주지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주거형 오피스텔 시장은 이미 실수요자 중심으로 형성돼 있는 만큼 대출도 일반주택에 준해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사가 분양한 것은 전용면적 50~70㎡대로 실수요자를 겨냥한 주거형 오피스텔, 즉 아파텔이었다. 은행이 문제 삼은 것은 바로 '오피스텔'이라는 부분이었다. A사 관계자는 "계약이 100% 끝난 곳인데도 단순히 오피스텔이란 이유로 제1금융권 대출을 거부당했다"고 토로했다. 결국 이 회사는 울며 겨자 먹기로 2금융권에 대출을 맡길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계약자들은 당초 예상보다 더 많은 이자를 내게 됐다.
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아파트와 비슷하면서도 가격은 저렴해 실수요자들에게 아파트 대체 상품으로 각광받는 아파텔이 제1금융권의 중도금 집단대출 대상에서 소외되고 있다. 사실상 대부분 은행이 지난해 말부터 '오피스텔 대출 금지'에 나서면서 많은 사업장이 신용금고 등 제2금융권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수도권 신도시에서 최근 성공적으로 아파텔 분양을 마무리한 B사 역시 1000실에 달하는 물량을 '완판'한 뒤 제1금융권을 대상으로 중도금 대출을 논의했지만 '한도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대출의 일부만 은행에 맡기고, 절반이 넘는 나머지는 2금융권 상품을 이용해야만 했다.
은행들이 이처럼 중도금 집단대출에 소극적인 것은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면서 은행권을 향해 '무언의 압박'에 나선 결과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한국부동산개발협회 관계자는 "정부는 '규제는 없다. 대출은 은행이 자율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부채 감축에 대한 금융당국의 신호가 너무 확고해 은행들이 알아서 대출을 죄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아파텔은 임대사업을 겨냥한 일반 소형 오피스텔보다 실수요자 계약 비율이 높아 사업구조가 안정적인데도 오피스텔이라는 이유로 위험 부담이 높은 수익형 부동산으로 분류돼 덩달아 차별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부 은행에서는 아파텔 대출을 둘러싸고 지점과 본사 간 갈등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이 100% 끝난 만큼 남는 장사라는 판단에 지점에서 대출을 맡으려고 해도 본사에서 내부 지침이라며 최종 승인을 해주지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주거형 오피스텔 시장은 이미 실수요자 중심으로 형성돼 있는 만큼 대출도 일반주택에 준해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