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내 체류 외국인 200만명 돌파…전체 인구 3.9%
입력 2016-07-27 15:37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200만명을 돌파했다. 2007년 100만명을 넘어선 이래 9년 만이다.
법무부는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200만1828명을 기록해 전체 인구의 3.9%를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법무부는 2011∼2015년 체류외국인이 연평균 8%씩 증가한 것을 고려할 때 2021년 국내 체류외국인이 300만명을 넘어서 전체 인구의 5.82%가 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5.7%를 웃도는 수치다.
국내 체류외국인의 절반은 중국인(101만2273명)이 차지했다. 이어 미국(15만5495명·전체의 7.8%)과 베트남(14만3394명·전체의 7.2%) 출신이 뒤를 이었다.

국내에 91일 이상 거주하는 장기체류외국인은 2000년 21만9962명에서 현재 148만1603명으로 약 7배 증가했다. 전체 체류외국인 중 장기체류외국인 비중은 74%를 차지했다. 국적별 비중은 중국 54.5%, 베트남 8.8%, 미국 4.7% 순으로, 중국·베트남 비율은 커진 반면, 미국·대만은 작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장기체류 외국인 증가 이유는 중국인 체류자, 취업외국인,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거주지별 분포를 보면 경기도 33%, 서울 27.1% 등 장기체류외국인의 65.1%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90일 이내로 머무는 단기체류외국인은 52만225명으로 집계됐다. 국적별 비중은 중국 39.4%, 미국 16.6%, 태국 12.5% 순이었다.
단기체류외국인 증가의 가장 큰 이유는 중국 관광객 증가로 분석됐다. 단기체류 중국인은 2000년 10만491명에서 20만5197명으로 약 2배 증가했다. 연간 중국인 입국자 수도 2000년 27만9572명에서 작년 615만4730명으로 약 22배 늘었다.
불법체류자 수는 20만명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전체 체류외국인 중 불법체류자 비율은 2000년 41.8%에서 올해 10.6%까지 떨어졌다.
법무부는 그 이유를 9월까지 시행하는 ‘자진출국자 한시적 입국금지 면제제도 영향이라고 봤다. 이는 자진 출국 불법체류자에 대해 불법체류 기간과 관계없이 입국금지를 유예하는 제도다.
법무부는 첨단과학 분야 등 인재를 유치해 증가하는 외국인을 국가발전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는 한편 외국인 유입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갈등을 방지하고자 외국인에 대한 사회통합정책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