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당뇨병 진단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나온다
입력 2016-07-10 15:28 
KIST 연구진이 개발한 당뇨병 진단용 콘택트렌즈 시제품 <사진제공=KIST>

국내 연구진이 눈물로 당뇨병 진단 및 관리가 가능한 콘택트렌즈형 센서를 개발했다.
송용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진은 눈물을 이용해 당뇨병 진단이 가능한 콘택트렌즈형 진단기기를 개발했으며 전체 기기를 이루는 각 요소기술에 대한 시제품 제작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콘택트렌즈형 당뇨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눈물 속에 포함된 미량의 ‘포도당을 검출해 낼 수 있는 센서 개발이 필수적이다. 또한 안구를 감싸고 있는 눈물을 자극 없이 포집할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다. 연구진은 콘택트렌즈에 미세한 배관 구조를 만들어 15초 동안 약 7㎕(마이크로리터·1㎕는 100만분의 1ℓ)의 눈물을 얻을 수 있는 시제품을 만들었다. 이 렌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얇은 2차 전지 기술도 확보했다. 송 책임연구원은 당뇨병 진단이 가능한 콘택트렌즈는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층에 적용할 수 있는 요소기술을 개발했다”며 현재 센서와 외부 기기의 통신을 위한 칩의 크기가 가로 세로 약 4㎜인 것을 1㎜까지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2년 뒤, 각 시제품 속 개별 기술을 결합한 최종 결과물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송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스마트 콘택트렌즈의 현실화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 우리나라가 관련 분야에서 세계 기술 선도 및 신시장 창출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개발된 콘택트렌즈는 다양한 질병진단과 신약개발 등을 위한 플랫폼으로 진화시켜, 정보통신 기술 연계로 응용 분야를 확장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