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은행이 이익도 늘고 주가도 함께 오르자 정부 측 보유지분(51%) 매각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직접 해외 투자설명회(IR)에 나서면서 투자자들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금이 매각 적기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에서는 확실한 매수자를 찾기 위한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며 한발 물러선 상황이다. 자칫하면 이번 정권 내에서 우리은행 매각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염려도 커지고 있다.
12일 금융당국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13일 예정인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정기 회의 때 시장 예상과 달리 우리은행 매각 관련 안건은 상정되지 않을 전망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13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 회의 때 관련 안건이 올라가지 않고 향후 회의 때도 언제 안건을 상정할지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2001년 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을 투입했고 아직 5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매각 방안이 결정돼야 한다.
지난해 7월 금융당국은 기존 경영권 지분 매각 방식뿐 아니라 과점주주 매각 방식도 추가로 도입한다는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하지만 1년이 다 되는 지금까지 매각 공고를 내지 않고 있어 당국의 속내가 무엇인지 시장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은 "매각 공고를 낸 후 유효 경쟁이 성립되지 않으면 (지난 4번의 매각 실패에 이어) 다시 한 번 매각에 실패하게 된다"며 "확실한 매수자를 찾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주간사 등을 통해 우리은행 지분 매입 의사를 밝힌 곳들은 실제 매각 공고가 나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예보 보유 지분 중 30%를 4~10% 정도씩 과점 주주들에 분할 매각한다는 방침 이외에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최근 몸값이 올라간 우리은행을 이번에 매각하지 못하면 이만한 기회를 다시 찾기 힘들다는 주장이 강하다. 우리은행은 지난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48.8% 증가한 순이익 4465억원을 거뒀고 1월 20일 8230원(종가기준)을 기록했던 주가가 6월 10일에는 23.3% 오른 1만150원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 지분 또한 이 행장이 유럽 미국 등지에서 두 차례의 해외 IR를 하면서 20%에서 25% 정도로 상승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 행장이 유럽 IR 당시 30여 곳의 투자자를 만나는 과정에서 10여 곳에서 우리은행 매각과정에 참여할 뜻을 밝히는 등 외국계 투자자들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연내 매각이 무산되면 내년에는 박근혜정부의 임기 말임을 감안해 우리은행 매각은 또다시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 중동 국부펀드들과의 협상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확실한 매수자라고 할 만한 곳은 중국계 자본밖에 없다는 생각을 금융당국이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매각 공고를 미룰수록 당국의 매각 의지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매각 방침을 밝힌 지 11개월이 넘은 만큼 금융당국이 매각에 대한 입장과 계획을 다시 한 번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준형 기자 / 김효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직접 해외 투자설명회(IR)에 나서면서 투자자들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금이 매각 적기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에서는 확실한 매수자를 찾기 위한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며 한발 물러선 상황이다. 자칫하면 이번 정권 내에서 우리은행 매각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염려도 커지고 있다.
12일 금융당국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13일 예정인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정기 회의 때 시장 예상과 달리 우리은행 매각 관련 안건은 상정되지 않을 전망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13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 회의 때 관련 안건이 올라가지 않고 향후 회의 때도 언제 안건을 상정할지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2001년 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을 투입했고 아직 5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매각 방안이 결정돼야 한다.
지난해 7월 금융당국은 기존 경영권 지분 매각 방식뿐 아니라 과점주주 매각 방식도 추가로 도입한다는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하지만 1년이 다 되는 지금까지 매각 공고를 내지 않고 있어 당국의 속내가 무엇인지 시장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은 "매각 공고를 낸 후 유효 경쟁이 성립되지 않으면 (지난 4번의 매각 실패에 이어) 다시 한 번 매각에 실패하게 된다"며 "확실한 매수자를 찾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주간사 등을 통해 우리은행 지분 매입 의사를 밝힌 곳들은 실제 매각 공고가 나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예보 보유 지분 중 30%를 4~10% 정도씩 과점 주주들에 분할 매각한다는 방침 이외에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최근 몸값이 올라간 우리은행을 이번에 매각하지 못하면 이만한 기회를 다시 찾기 힘들다는 주장이 강하다. 우리은행은 지난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48.8% 증가한 순이익 4465억원을 거뒀고 1월 20일 8230원(종가기준)을 기록했던 주가가 6월 10일에는 23.3% 오른 1만150원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 지분 또한 이 행장이 유럽 미국 등지에서 두 차례의 해외 IR를 하면서 20%에서 25% 정도로 상승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 행장이 유럽 IR 당시 30여 곳의 투자자를 만나는 과정에서 10여 곳에서 우리은행 매각과정에 참여할 뜻을 밝히는 등 외국계 투자자들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연내 매각이 무산되면 내년에는 박근혜정부의 임기 말임을 감안해 우리은행 매각은 또다시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 중동 국부펀드들과의 협상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확실한 매수자라고 할 만한 곳은 중국계 자본밖에 없다는 생각을 금융당국이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매각 공고를 미룰수록 당국의 매각 의지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매각 방침을 밝힌 지 11개월이 넘은 만큼 금융당국이 매각에 대한 입장과 계획을 다시 한 번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준형 기자 / 김효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