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국토연구원 분석 "청년 주택구매 늘릴 금융상품 시급"
입력 2016-05-19 17:06  | 수정 2016-05-19 19:59
현재 20대 후반 청년층이 돈을 열심히 모아 10년 후 구매할 수 있는 주택이 서울에서는 전체 주택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청년층의 주거 안정성을 높이려면 임대주택 정책뿐만 아니라 장기주택마련저축·초장기 주택원리금 상환상품 등 주택 구매장벽을 낮추는 금융제도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9일 청년층 주거 수급 상황과 부담 능력을 계량분석해 국토연구원이 낸 '청년주거문제 완화를 위한 주택정책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5~29세 청년가구 주거소비 면적은 급감하는 반면 월세 상승으로 주거비 지출은 급증하고 있다.
2000년에 비해 2013년 전체 근로자 임금은 두 배 이상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25~39세 임금은 1.8~1.9배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집값은 2.2배, 전세금은 2.25배 상승해 주거비 부담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주택실거래가 상승이 없다는 가정 아래 경제성장률·소득증가율 둔화, 월세 증가, 취업률 하락 등을 반영해 청년주거비 부담 능력을 추산한 결과 주택매매시장에서 청년층이 10년 후인 2024년 35~39세가 됐을 때 부담 가능한 주택가격은 수도권 3억~3억8000만원, 비수도권 2억8000만~3억5000만원이었다.
이 가격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주택 물량은 서울 41~56%, 경기 73~84%, 부산 79~92%, 울산 75~88%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 1~4분위 저소득층이 구매할 수 있는 주택 물량은 서울 10~15%, 경기 30~40%, 부산 36~45%에 불과했다.

주택임대차시장에서는 청년층이 5년 후(2019년) 순수하게 부담 가능한 임차료가 수도권 80만5000~83만5000원, 비수도권 77만3000~80만5000원 선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수욱 연구위원은 "청년층 내 주거면적 소비도 양극화가 심해 계층 간 갈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청년층 자산 형성 지원책으로는 50년 분할납부 같은 초장기 주택원리금 상환상품이나 수수료 부담 없이 중도금 일시 상환 가능한 상품, 소득이 증가하는 40·50대에 원금 상환이 커지고 이자 부담을 줄이는 금융상품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한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