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도 경제는 소비와 투자를 중심으로 7.3% 고성장했다. 이는 시장 환율 기준으로 2조달러이지만 구매력 기준으로는 8조달러에 달하는 수준이다. 최근 인도 경제 거시지표가 주춤한 모습이지만 올해 성장률도 7%대 중반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인도 정부가 국내총생산(GDP) 산출 통계를 개편한 이후 성장률 수치는 종전 기준보다 2%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이를 두고 통계 조작 논란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인도의 성장세는 놀라운 수준이다. 중국 경기 둔화가 전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지만 인도는 아시아에서 중국 경기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청년층 인구가 늘고 있는 데다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로 상징되는 모디 정부의 성장 전략도 적절히 뒷받침된 결과다.
운도 뒤따랐다. 인도는 오랜 기간 쌍둥이(경상수지 및 재정수지) 적자와 고물가에 시달려왔다. 하지만 유가가 급락하면서 2012년 GDP 대비 5%에 육박하던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최근 1%대로 급감했다. 10%가 넘던 물가상승률도 저유가 영향으로 최근 인도 중앙은행 목표치인 5%대로 낮아졌다. 덕분에 기준금리도 지난해 8%에서 지난 4월에는 6.75%까지 인하될 수 있었다.
물론 그만큼 노력한 성과도 있다. 인도 정부의 구조개혁이 마침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 인도 하원은 부동산 관련법을 통과시켰다. 건설업자는 사업자금의 70%를 특별 계정에 예치해 다른 곳에 전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사업 내용도 주정부에 등록하도록 해 투명성을 높였다.
최근 인도 하원은 180일 이내에 신속하게 회사 정리 절차를 마칠 수 있도록 파산법도 개정했다. 종전에는 기업 파산 절차를 마치는 데 평균 4.3년이나 걸렸다. 세계은행의 부실기업 정리 효율성 순위에서 인도는 최하위권인 136위였다. 파산법이 상원을 통과하면 인도 금융 개혁에도 가속도가 붙을 게 분명해 보인다.
재정 개혁도 빼놓을 수 없다. 인도로 들어온 외국인직접투자 중 모리셔스와 싱가포르를 경유한 자금이 전체의 50%에 달한다. 이처럼 조세피난처 성격의 나라에서 유입된 자금은 단기 차익에 집중한다. 인도에서는 단기자본이익이 발생해도 비과세 혜택이 있어 더욱 그랬다. 하지만 인도에서도 내년 4월 이후 신규 투자부터는 자본이득세를 내야 한다. 그만큼 세원이 확보돼 재정 확충에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또 내년부터는 부가가치세가 도입되고 식량·에너지에 대한 보조금 축소도 예상된다. 2012년 GDP 대비 6%에 육박했던 재정적자가 최근 4%대로 급감했다. 이 같은 재정 개혁이 성공하면 적자 폭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인도 경제에 필요한 전력(장기 투자 필요 규모 GDP 대비 7% 예상), 철도(6%), 도로(4%), 혁신도시(2%) 등 대규모 사회간접투자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해 노무라증권은 최근 인도 증시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를 권고하고 있다. 지난해 인도 수출 중 한국이 차지한 비중은 2.3%로 경쟁국인 일본(1.3%)보다 높다. 한국의 대인도 수출 감소 폭도 지난해 6%에서 올해는 0.2%로 줄었다. 철강 제품에 대한 인도 정부의 보호무역조치가 한국 기업의 수출에 타격을 주기는 했지만 인도의 건설용 기계 수요가 늘어난 것은 고무적이다.
최근 중국 및 신흥국 수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한국으로서는 인도·이란과 같은 잠재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이들 국가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나라다. 반면 한국에는 적절한 투자처를 찾는 유동자금이 풍부하다. 한국의 이런 자금을 신흥국의 경제협력으로 연결지을 수 있다면 그게 바로 우리 금융산업의 새 먹거리가 될 수 있다.
[권영선 노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를 두고 통계 조작 논란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인도의 성장세는 놀라운 수준이다. 중국 경기 둔화가 전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지만 인도는 아시아에서 중국 경기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청년층 인구가 늘고 있는 데다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로 상징되는 모디 정부의 성장 전략도 적절히 뒷받침된 결과다.
운도 뒤따랐다. 인도는 오랜 기간 쌍둥이(경상수지 및 재정수지) 적자와 고물가에 시달려왔다. 하지만 유가가 급락하면서 2012년 GDP 대비 5%에 육박하던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최근 1%대로 급감했다. 10%가 넘던 물가상승률도 저유가 영향으로 최근 인도 중앙은행 목표치인 5%대로 낮아졌다. 덕분에 기준금리도 지난해 8%에서 지난 4월에는 6.75%까지 인하될 수 있었다.
물론 그만큼 노력한 성과도 있다. 인도 정부의 구조개혁이 마침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 인도 하원은 부동산 관련법을 통과시켰다. 건설업자는 사업자금의 70%를 특별 계정에 예치해 다른 곳에 전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사업 내용도 주정부에 등록하도록 해 투명성을 높였다.
최근 인도 하원은 180일 이내에 신속하게 회사 정리 절차를 마칠 수 있도록 파산법도 개정했다. 종전에는 기업 파산 절차를 마치는 데 평균 4.3년이나 걸렸다. 세계은행의 부실기업 정리 효율성 순위에서 인도는 최하위권인 136위였다. 파산법이 상원을 통과하면 인도 금융 개혁에도 가속도가 붙을 게 분명해 보인다.
재정 개혁도 빼놓을 수 없다. 인도로 들어온 외국인직접투자 중 모리셔스와 싱가포르를 경유한 자금이 전체의 50%에 달한다. 이처럼 조세피난처 성격의 나라에서 유입된 자금은 단기 차익에 집중한다. 인도에서는 단기자본이익이 발생해도 비과세 혜택이 있어 더욱 그랬다. 하지만 인도에서도 내년 4월 이후 신규 투자부터는 자본이득세를 내야 한다. 그만큼 세원이 확보돼 재정 확충에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또 내년부터는 부가가치세가 도입되고 식량·에너지에 대한 보조금 축소도 예상된다. 2012년 GDP 대비 6%에 육박했던 재정적자가 최근 4%대로 급감했다. 이 같은 재정 개혁이 성공하면 적자 폭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인도 경제에 필요한 전력(장기 투자 필요 규모 GDP 대비 7% 예상), 철도(6%), 도로(4%), 혁신도시(2%) 등 대규모 사회간접투자에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중국 및 신흥국 수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한국으로서는 인도·이란과 같은 잠재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이들 국가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나라다. 반면 한국에는 적절한 투자처를 찾는 유동자금이 풍부하다. 한국의 이런 자금을 신흥국의 경제협력으로 연결지을 수 있다면 그게 바로 우리 금융산업의 새 먹거리가 될 수 있다.
[권영선 노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