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용태 새누리 혁신위, 계파·당체질 개선 난제 수두룩
입력 2016-05-16 11:07  | 수정 2016-05-16 11:07
사진=연합뉴스
김용태 새누리 혁신위, 계파·당체질 개선 난제 수두룩



탄핵 역풍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는 새누리당이 15일 위기 돌파의 한 축을 담당할 혁신위원장으로 김용태 의원을 선택했습니다.

비상대책위원장을 겸직할 정진석 원내대표는 평소 김 의원과 별다른 교분은 없지만 주변 여론을 폭넓게 수용한 결과 크게 3가지 점에서 김 의원으로 낙점했다고 합니다.

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김 의원은 정치 환경이 어려운 서울에서 내리 3선을 한 데다 평소 누구보다 쇄신의 목소리를 크게 냈다"면서 "아울러 지난해까지 보수혁신특별위에서 활동하며 개혁 과제를 마련해 무엇을 해야 할지 잘 안다"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김 의원은 혁신위를 통해 무엇보다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계)계간의 계파 갈등을 해소할 '솔로몬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는 주문을 받고 있습니다.


김 의원 자신도 여의도 당사 기자회견에서 대표적 과제를 묻는 질문에 "선거 패배의 최대 원인이었던 계파 갈등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방법을 찾겠다"고 답할 정도입니다.

특히 가장 처음 해결할 과제로는 유승민 의원을 포함해 공천 심사에 불복하고 탈당 후 당선된 무소속 의원에 대한 복당 문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차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를 둘러싼 계파간 갈등이 이미 고조될 조짐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앞으로 혁신위가 어느 정도의 권한을 행사할지 아직은 알 수 없지만 김 의원이 비주류인 비박계여서 활동 공간이나 결정권이 그다지 크지 않아 보인다는 점입니다.

친박계 다수의 반대를 뚫고 우여곡절 끝에 복당 결정을 이끌어 낸다고 해도 계파간 화학적 결합은 커녕 오히려 분란의 불씨만 더욱 키워 놓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해까지 당 보수혁신특위 위원으로 활동했던 김 의원은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도 강력하게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불체포 특권 포기, 국회의원의 무노동-무임금, 출판기념회 금지 입법화, 총선 1년 전 당협위원장 사퇴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 혁신위는 현행 집단지도체제의 개편과 당권·대권 분리, 대선 경선 방식 변경과 같은 민감한 당내 현안에 대해서도 손댈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당 대표를 비롯해 9명으로 구성된 최고위는 공천룰 결정과 심사와 같은 주요 사안을 해결하는 데 무기력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계파 대리전 양상까지 보임에 따라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또 총선 과정에서 여권 내 대권주자가 정치적 타격을 입은 만큼 당권·대권 분리 규정도 현실에 맞게 고쳐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김용태 혁신위 체제'가 지난 2005년 비주류인 홍준표 경남지사가 혁신위원장을 맡았던 상황에 견주어 폭넓은 변화를 가져오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내놓습니다.

당시 3선이었던 홍 지사는 '돈키호테', '독불장군'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소신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당 안팎에서는 김 의원도 이에 못지않다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표로서 당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혁신위는 대선 1년6개월 전 당 대표 사임을 포함한 각종 혁신안을 관철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홍 지사와 함께 3선 3인방으로 활약한 이재오 의원, 박계동 전 의원과 소장파인 '남원정'(남경필 원희룡 정병국)이 내부에서 힘을 실어주고, 외곽에는 대권을 노리는 이명박 서울시장이 버티고 있었던 당시와 현재는 상황이 다르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