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도심권 외에 시민들의 통행이 많은 생활권 지역에서도 차로를 줄이고 보도를 늘리는 ‘도로다이어트를 본격 추진한다.
10일 서울시는 퇴계로·석촌호수로 등 도심권·부도심권 중심으로 시행했던 도로다이어트를 일상생활권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먼저 주민 요청으로 자치구에서 선정한 지역 중 교통안전시설 심의와 사업심사를 통과한 10곳 3647m 구간에서 6월 사업을 개시한다. 이들 우선사업지를 시작으로 연내 20곳 이상까지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생활권 도로다이어트 사업은 자치구가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두 주도하게 된다. 각 구청이 주민의 생생한 의견을 듣고 현장 특성을 고려해 교통안전시설 심의를 진행한다. 심의 결과를 제출하면 서울시는 사업비만 교부한다. 우선사업지 10곳에는 45억6800만원을 투입된다.
이태원 앤틱가구거리가 위치한 용산구 녹사평대로26길(220m)은 차로 폭을 줄이고 보도를 확장하면서 차량속도를 낮춰주는 S자형 도로를 도입한다. 보도 환경이 크게 개선되면서 관광객 유입이 늘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성북구 오패산로3길(470m)은 고령자·장애인 시설, 학교가 있는 점을 감안해 속도를 제한하고 교통약자를 감안해 보행환경을 개선한다. 동작구 여의대방로44길(407m)은 차로를 4개에서 2개로 대폭 줄여 주차면을 늘리고 보도도 확장한다. 노량진 근린공원을 이용하는 주민과 숭의여고, 남도학숙 학생을 위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그밖에 종로구 새문안로5가길, 성동구 성수일로10길, 광진구 동일로, 노원구 노원로1가길, 구로구 구일로10길, 관악구 관악로30길, 강남구 논현로 등에서 사업이 진행된다.
서울시는 10곳과 별도로 관악구 양녕로를 생활권 도로다이어트 시범사업 구간으로 정해 ‘걷는 도시, 서울 정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신용목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서울 전역에서 소외되는 지역없이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꾸준히 개선 지점을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