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희망임금 "최소 213만원" 고임금 정규직 일자리 선호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층이 희망하는 월 최소 평균임금은 21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층은 정시퇴근과 주 5일제 등 근무시간을 취업의 중요한 조건으로 꼽았습니다.
18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이용순)이 발표한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실태와 과제'에 따르면 청년층의 월평균 유보임금(고용시 최소 희망 임금)은 2014년 212만 7천원이었습니다. 2010년 조사 때 178만 6천원보다 34만원 올랐습니다.
이번 조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5개년도(2010∼2014년) 7차∼11차 원자료를 패널화해 분석한 것입니다. 1차 조사 때인 2004년 당시 일반계 및 전문계 고교 3학년생이면서 7∼11차 조사에 모두 응답한 1천735명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같은 기간 재학생의 월평균 유보임금은 189만 2천원에서 257만 3천원으로 69만 1천원 상승했습니다.
임금 외 근무 조건 중(복수응답)에는 주 5일 근무제 일자리를 선호하는 비율이 41.4%(2010년)에서 60.8%(2014년)로, 분석 기간 19.4% 포인트 상승해 5년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근무시간 준수도 61.4%에서 71.0%로 9.6% 포인트 높아져 근무시간 관련 선호도가 취업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했습니다.
대기업·외국계 기업(7.2%→9.0%), 공기업·공무원(6.7%→8.7%) 등 항목도 선호 비율이 소폭 증가했다. 중소기업 기피(11.9%→14.1%) 현상은 여전했습니다.
반면 수도권 직장(29.9%→26.3%), 전공분야 일치도(30.5%→29.7%), 사회적 인정(27.8%→27.0%) 등 항목은 선호 비율이 낮아졌습니다.
전체적으로 남성은 공무원, 대기업, 공기업 등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고임금 정규직 일자리를 선호했습니다. 여성은 근무시간과 주 5일 근무제가 지켜지고 통근이 쉬워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일자리를 선호했습니다.
오호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원은 "전통적으로 정규직, 대기업 등이 중요한 취업 선호 요인이었으나 근로시간, 주5일 근무제, 통근을 중시하는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며 "중소기업 일자리 질을 개선하면 청년층 유입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층이 희망하는 월 최소 평균임금은 21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층은 정시퇴근과 주 5일제 등 근무시간을 취업의 중요한 조건으로 꼽았습니다.
18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이용순)이 발표한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실태와 과제'에 따르면 청년층의 월평균 유보임금(고용시 최소 희망 임금)은 2014년 212만 7천원이었습니다. 2010년 조사 때 178만 6천원보다 34만원 올랐습니다.
이번 조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5개년도(2010∼2014년) 7차∼11차 원자료를 패널화해 분석한 것입니다. 1차 조사 때인 2004년 당시 일반계 및 전문계 고교 3학년생이면서 7∼11차 조사에 모두 응답한 1천735명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같은 기간 재학생의 월평균 유보임금은 189만 2천원에서 257만 3천원으로 69만 1천원 상승했습니다.
임금 외 근무 조건 중(복수응답)에는 주 5일 근무제 일자리를 선호하는 비율이 41.4%(2010년)에서 60.8%(2014년)로, 분석 기간 19.4% 포인트 상승해 5년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근무시간 준수도 61.4%에서 71.0%로 9.6% 포인트 높아져 근무시간 관련 선호도가 취업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했습니다.
대기업·외국계 기업(7.2%→9.0%), 공기업·공무원(6.7%→8.7%) 등 항목도 선호 비율이 소폭 증가했다. 중소기업 기피(11.9%→14.1%) 현상은 여전했습니다.
반면 수도권 직장(29.9%→26.3%), 전공분야 일치도(30.5%→29.7%), 사회적 인정(27.8%→27.0%) 등 항목은 선호 비율이 낮아졌습니다.
전체적으로 남성은 공무원, 대기업, 공기업 등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고임금 정규직 일자리를 선호했습니다. 여성은 근무시간과 주 5일 근무제가 지켜지고 통근이 쉬워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일자리를 선호했습니다.
오호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원은 "전통적으로 정규직, 대기업 등이 중요한 취업 선호 요인이었으나 근로시간, 주5일 근무제, 통근을 중시하는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며 "중소기업 일자리 질을 개선하면 청년층 유입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