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손진아 기자] 배우 천우희의 매력의 끝은 어디일까. 영화 ‘해어화(감독 박흥식)로 돌아온 천우희가 이번엔 아름다운 멜로디에 맞춰 노래를 부른다. 보면 볼수록 매력적인 천우희에게 또 한 번 빠질 시간이다.
‘해어화는 1943년 비운의 시대, 최고의 가수를 꿈꿨던 마지막 기생의 숨겨진 이야기를 그렸다. 그동안 ‘써니 ‘한공주 ‘카트 등 다양한 작품에서 매번 새로운 캐릭터로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존재감을 입증해온 천우희는 마음을 울리는 목소리를 지닌 연희 역을 맡아 기생으로 변신했다.
천우희에게 ‘해어화의 첫 느낌은 영화 ‘게이샤의 추억과 ‘드림걸즈를 떠올리게 했다. 그리고 본능적으로 이 영화를 어떻게 그려야 한다, 관객들에게 어떻게 보여야 한다 라는 게 스쳐갔다.
‘해어화에서 두 여자의 갈등, 자기 재능에 대한 갈망, 고뇌가 많이 커서 대립각이 뚜렷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능적으로 작품을 선택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상하게 ‘해어화는 선뜻 주저함이 계속 있었다. 상을 탄 바로 직후였어서 조금 시간을 갖고 싶은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다. 작품이 막 밀려들어오는 시기였는데 작품을 잰다기보다는 조금은 천천히 진중하게 생각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회사 입장에서는 사람들이 바라는 새로운 모습을 도전해볼만하지 않겠냐고 했다. 그러다 항상 내가 잘하는 연기, 새 모습을 사람들은 원하는 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고, 크게 도전을 해봐야 되겠다 싶어 출연을 결정하게 됐다.
아름다운 멜로디에 맞춰 청아하면서도 힘 있는 목소리로 노래를 이어가는 천우희의 모습은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특히 센 캐릭터를 도맡아 온 그가 표현하는 여성스러운 캐릭터와 섬세한 감정선을 이어가면서도 깊이 있는 연기에서는 배우 천우희의 힘을 느낄 수 있다. 그런 그에게도 처음엔 노래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했다.
연희를 소개할 때 마음을 울리는 목소리라고 하니까 과연 그게 가능할까 싶었다. 배우로서 목소리가 중요하긴 하지만 이건 노래를 하는 거지 않나. 충분히 관객들을 사로잡아야만 했다. 기본적인 발성, 창법, 새로운 창작곡을 잘 소화하기 위해서 4개월 동안 정말 많은 연습을 했었다. 괴롭기도 하고 낙담하기도 하고 그런 시간들이 있었다.”
천우희는 ‘해어화를 통해 노래뿐만 아니라 노래를 통해 연희의 감정까지 담아 관객에게 전달해야만 했다. 노래 연습을 꾸준히 했지만 노래를 연기하듯 해야 하는 부분은 어려운 숙제였다.
노래를 지도해주는 선생님도 그렇고, 연기하듯이 해보라고 하는데 도저히 못하겠더라. 음악 감독님도 내가 갖고 있는 목소리가 매력이 있기 때문에 좀 더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다 보면 음을 찾는 지점들이 있다고 했다. 즐기듯이 편안하게 해보라고 하는 말을 듣고 ‘에라 모르겠다라 생각하고 노래했다. 그런데 그게 오히려 잘되었다.(웃음)”
‘해어화는 기생들의 삶과 나라 없는 민족의 슬픔을 대변해 주는 1940년대 대중음악 등이 눈과 귀를 즐겁게 한다. 때문에 배우들이 1940년대 목소리의 느낌을 살리는 것도 중요했다. 천우희 역시 이를 중점을 두고 노래했다.
간드러지지 않지만 꾀꼬리 같은 목소리로 예쁘게 부르는 느낌을 살리면서 하는 것도 중요했다. 그걸 표현하는데 있어 평소에 트로트를 즐겨 듣거나 하지 않았지만, 한국인들에게 누구나 있는 뽕끼로 느낌을 살리려 했다. 1940년대 음악을 듣다보면 너무나 생소하고 낯선 느낌이 있는데 그걸 온전히 영화에 갖고 오기에는 공감이 안되거나 매력적이지 않을 수도 있었다. 이 부분을 조율하는 데 신경을 많이 썼다.”
연희가 살아온 고단한 인생, 그 시대 민중이 느끼던 한 등을 담고 싶었다. 사실 작사는 감독님이 묻기도 전에 이미 혼자 써 보고 있었다. 다 써놓고는 감독님께 ‘제가 한 번 써보면 어떨까요?라고 물었었다.(웃음) ‘조선의 마음의 경우 여러 버전으로 연기를 하기도 했다. 노래하듯이 부르기도 하고, 뮤지컬 하듯이 노래해보기도 했다. 어떤 게 가장 어울릴지 적합할지에 대해서는 계속 고민해나가며 신경을 꽤 많이 썼다.”
손진아 기자 jinaaa@mkculture.co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
‘해어화는 1943년 비운의 시대, 최고의 가수를 꿈꿨던 마지막 기생의 숨겨진 이야기를 그렸다. 그동안 ‘써니 ‘한공주 ‘카트 등 다양한 작품에서 매번 새로운 캐릭터로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존재감을 입증해온 천우희는 마음을 울리는 목소리를 지닌 연희 역을 맡아 기생으로 변신했다.
천우희에게 ‘해어화의 첫 느낌은 영화 ‘게이샤의 추억과 ‘드림걸즈를 떠올리게 했다. 그리고 본능적으로 이 영화를 어떻게 그려야 한다, 관객들에게 어떻게 보여야 한다 라는 게 스쳐갔다.
‘해어화에서 두 여자의 갈등, 자기 재능에 대한 갈망, 고뇌가 많이 커서 대립각이 뚜렷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본능적으로 작품을 선택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상하게 ‘해어화는 선뜻 주저함이 계속 있었다. 상을 탄 바로 직후였어서 조금 시간을 갖고 싶은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다. 작품이 막 밀려들어오는 시기였는데 작품을 잰다기보다는 조금은 천천히 진중하게 생각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회사 입장에서는 사람들이 바라는 새로운 모습을 도전해볼만하지 않겠냐고 했다. 그러다 항상 내가 잘하는 연기, 새 모습을 사람들은 원하는 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고, 크게 도전을 해봐야 되겠다 싶어 출연을 결정하게 됐다.
아름다운 멜로디에 맞춰 청아하면서도 힘 있는 목소리로 노래를 이어가는 천우희의 모습은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특히 센 캐릭터를 도맡아 온 그가 표현하는 여성스러운 캐릭터와 섬세한 감정선을 이어가면서도 깊이 있는 연기에서는 배우 천우희의 힘을 느낄 수 있다. 그런 그에게도 처음엔 노래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했다.
연희를 소개할 때 마음을 울리는 목소리라고 하니까 과연 그게 가능할까 싶었다. 배우로서 목소리가 중요하긴 하지만 이건 노래를 하는 거지 않나. 충분히 관객들을 사로잡아야만 했다. 기본적인 발성, 창법, 새로운 창작곡을 잘 소화하기 위해서 4개월 동안 정말 많은 연습을 했었다. 괴롭기도 하고 낙담하기도 하고 그런 시간들이 있었다.”
천우희는 ‘해어화를 통해 노래뿐만 아니라 노래를 통해 연희의 감정까지 담아 관객에게 전달해야만 했다. 노래 연습을 꾸준히 했지만 노래를 연기하듯 해야 하는 부분은 어려운 숙제였다.
노래를 지도해주는 선생님도 그렇고, 연기하듯이 해보라고 하는데 도저히 못하겠더라. 음악 감독님도 내가 갖고 있는 목소리가 매력이 있기 때문에 좀 더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다 보면 음을 찾는 지점들이 있다고 했다. 즐기듯이 편안하게 해보라고 하는 말을 듣고 ‘에라 모르겠다라 생각하고 노래했다. 그런데 그게 오히려 잘되었다.(웃음)”
‘해어화는 기생들의 삶과 나라 없는 민족의 슬픔을 대변해 주는 1940년대 대중음악 등이 눈과 귀를 즐겁게 한다. 때문에 배우들이 1940년대 목소리의 느낌을 살리는 것도 중요했다. 천우희 역시 이를 중점을 두고 노래했다.
간드러지지 않지만 꾀꼬리 같은 목소리로 예쁘게 부르는 느낌을 살리면서 하는 것도 중요했다. 그걸 표현하는데 있어 평소에 트로트를 즐겨 듣거나 하지 않았지만, 한국인들에게 누구나 있는 뽕끼로 느낌을 살리려 했다. 1940년대 음악을 듣다보면 너무나 생소하고 낯선 느낌이 있는데 그걸 온전히 영화에 갖고 오기에는 공감이 안되거나 매력적이지 않을 수도 있었다. 이 부분을 조율하는 데 신경을 많이 썼다.”
사진=이현지 기자
그는 노래뿐만 아니라 작사에도 도전했다. ‘조선의 마음을 가장 애착이 가는 노래로 꼽기도 한 천우희는 직접 작사한 가사를 통해 연희의 인생과 시대상을 녹이고 싶고, 그걸 표현해내고 싶었다.연희가 살아온 고단한 인생, 그 시대 민중이 느끼던 한 등을 담고 싶었다. 사실 작사는 감독님이 묻기도 전에 이미 혼자 써 보고 있었다. 다 써놓고는 감독님께 ‘제가 한 번 써보면 어떨까요?라고 물었었다.(웃음) ‘조선의 마음의 경우 여러 버전으로 연기를 하기도 했다. 노래하듯이 부르기도 하고, 뮤지컬 하듯이 노래해보기도 했다. 어떤 게 가장 어울릴지 적합할지에 대해서는 계속 고민해나가며 신경을 꽤 많이 썼다.”
손진아 기자 jinaaa@mkculture.co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