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총장 후임은? 여성 vs 동유럽, 차기 유엔사무총장 선출 스타트
유엔이 이번 주부터 제9대 사무총장을 선출하는 공개 절차를 시작합니다.
올해로 임기가 끝나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후임으로 도전한 8명의 후보가 금주 193개 회원국과 세계 시민사회단체를 상대로 자신을 소개하고 정견을 발표하는 첫 '유세'에 나섭니다.
유엔은 9일(현지시간) 웹사이트를 통해 사무총장 선출의 투명화를 위해 창설 70년 만에 처음으로 도입된 공개 유세의 취지와 방식을 소개했습니다.
2017년 1월 1일 임기가 시작되는 새 유엔 사무총장에 도전한 후보는 8명입니다.
해당 회원국 정부가 후보로 확정해 유엔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추천한 인사들입니다.
남성 4명, 여성 4명이며 유엔 고위직을 거친 인물은 5명입니다.
헬렌 클라크 전 총리(뉴질랜드), 베스나 푸시치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크로아티아), 스르잔 케림 전 유엔총회 의장(마케도니아), 이고르 루크시치 외교부 장관(몬테네그로),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불가리아), 나탈리아 게르만 부총리(몰도바), 다닐로 튀르크 전 대통령(슬로베니아), 안토니우 구테헤스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포르투갈)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유엔은 처음 시도하는 공개 유세를 '후보들과의 격의없는 대화(Informal dialogues)'라고 명명했습니다.
12∼14일 사흘 동안 뉴욕 유엔본부에서 하루 2시간씩 열리며 하루 최대 3명의 후보의 유세가 가능합니다.
각 후보는 자신의 출마 동기, 유엔의 발전과 비전에 대한 구상 등을 발표하고 이어 2∼3분에 걸쳐 회원국 대표들로부터 질문을 받습니다.
정해진 시간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 질문권이 시민사회단체로 넘어가게 됩니다.
편안한 분위기를 유도하는 만큼 유세 순서가 정해지지 않았고, 먼저 도착하는 후보가 먼저 말하는 식이 됩니다.
이런 과정은 TV와 웹캐스트로 생중계될 것이라고 유엔은 밝혔습니다.
이어 6월 영국 런던에서 두 번째 공개유세를 하고, 안보리가 7월부터 본격적인 후보 선정 절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지금까지 유엔 사무총장은 거부권을 가진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들에 의해 막후에서 논의됐습니다.
15개 안보리 이사국 가운데 9개국 이상의 지지를 받은 후보가 유엔 총회에서 승인받는 형태여서 '밀실 천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런 틀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그러나 공개 유세를 통해 특정 후보가 대세를 형성하거나, 다수의 회원국이 특정 후보를 지원하는 흐름이 생기면 안보리가 이를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모겐스 리케토프트 유엔총회 의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공개유세 절차를 거론하며 "판을 크게 바꿀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공개유세를 거치고도 강력한 후보가 부상하지 않는다면 안보리는 과거와 같은 막강한 막후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사무총장 선출에는 지금까지 '지역 안배' 관행이 작용했습니다.
한 번도 사무총장을 배출하지 못한 동유럽에서 이번에 6명의 후보가 도전장을 낸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유엔 안팎에서는 동유럽 출신 후보가 러시아와 가까운 반면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방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여성 후보에게 기회가 갈 수 있다는 시각이 적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8명의 사무총장은 모두 남성이었습니다.
이번에 도전하는 후보 중에서는 클라크 전 뉴질랜드 총리와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유력 여성후보로 거론돼 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유엔이 이번 주부터 제9대 사무총장을 선출하는 공개 절차를 시작합니다.
올해로 임기가 끝나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후임으로 도전한 8명의 후보가 금주 193개 회원국과 세계 시민사회단체를 상대로 자신을 소개하고 정견을 발표하는 첫 '유세'에 나섭니다.
유엔은 9일(현지시간) 웹사이트를 통해 사무총장 선출의 투명화를 위해 창설 70년 만에 처음으로 도입된 공개 유세의 취지와 방식을 소개했습니다.
2017년 1월 1일 임기가 시작되는 새 유엔 사무총장에 도전한 후보는 8명입니다.
해당 회원국 정부가 후보로 확정해 유엔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추천한 인사들입니다.
남성 4명, 여성 4명이며 유엔 고위직을 거친 인물은 5명입니다.
헬렌 클라크 전 총리(뉴질랜드), 베스나 푸시치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크로아티아), 스르잔 케림 전 유엔총회 의장(마케도니아), 이고르 루크시치 외교부 장관(몬테네그로),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불가리아), 나탈리아 게르만 부총리(몰도바), 다닐로 튀르크 전 대통령(슬로베니아), 안토니우 구테헤스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포르투갈)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유엔은 처음 시도하는 공개 유세를 '후보들과의 격의없는 대화(Informal dialogues)'라고 명명했습니다.
12∼14일 사흘 동안 뉴욕 유엔본부에서 하루 2시간씩 열리며 하루 최대 3명의 후보의 유세가 가능합니다.
각 후보는 자신의 출마 동기, 유엔의 발전과 비전에 대한 구상 등을 발표하고 이어 2∼3분에 걸쳐 회원국 대표들로부터 질문을 받습니다.
정해진 시간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 질문권이 시민사회단체로 넘어가게 됩니다.
편안한 분위기를 유도하는 만큼 유세 순서가 정해지지 않았고, 먼저 도착하는 후보가 먼저 말하는 식이 됩니다.
이런 과정은 TV와 웹캐스트로 생중계될 것이라고 유엔은 밝혔습니다.
이어 6월 영국 런던에서 두 번째 공개유세를 하고, 안보리가 7월부터 본격적인 후보 선정 절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지금까지 유엔 사무총장은 거부권을 가진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들에 의해 막후에서 논의됐습니다.
15개 안보리 이사국 가운데 9개국 이상의 지지를 받은 후보가 유엔 총회에서 승인받는 형태여서 '밀실 천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런 틀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그러나 공개 유세를 통해 특정 후보가 대세를 형성하거나, 다수의 회원국이 특정 후보를 지원하는 흐름이 생기면 안보리가 이를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모겐스 리케토프트 유엔총회 의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공개유세 절차를 거론하며 "판을 크게 바꿀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공개유세를 거치고도 강력한 후보가 부상하지 않는다면 안보리는 과거와 같은 막강한 막후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사무총장 선출에는 지금까지 '지역 안배' 관행이 작용했습니다.
한 번도 사무총장을 배출하지 못한 동유럽에서 이번에 6명의 후보가 도전장을 낸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유엔 안팎에서는 동유럽 출신 후보가 러시아와 가까운 반면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방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여성 후보에게 기회가 갈 수 있다는 시각이 적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8명의 사무총장은 모두 남성이었습니다.
이번에 도전하는 후보 중에서는 클라크 전 뉴질랜드 총리와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유력 여성후보로 거론돼 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