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김진수 기자] 2015-16시즌 프로농구의 화두 중 하나는 외인이었다. 외인 두 명 중 한 명을 신장 193cm 이하로 뽑아야 한다는 조항을 넣으면서 모처럼 프로농구에는 단신 외인 등장했다. 화려한 테크니션을 앞세운 공격 농구로 농구장을 떠났던 팬들을 다시 잡겠다는 한국프로농구연맹(KBL)의 생각이었다.
여기에 2라운드부터 3쿼터에 한 해 외인 두 명이 동시에 뛰게 했으며 4라운드부터는 2,3라운드에 동시에 두 명이 코트에 나설 수 있게 하는 등 대대적으로 규정이 변경했다. 시즌 중간에 규정이 변경되면서 비판의 도마에 오르기도 했지만 어느 정도 득점이 늘어나는데 기여한 것은 분명했다.
2014-15시즌에는 창원 LG(80.1점)만이 평균 80점을 넘겼으나 올 시즌에는 안양 KGC인삼공사와 고양 오리온, 창원 LG, 전주 KCC 등 네 팀으로 늘어났다. 개인 기록으로 봐도 지난 시즌 평균 20점 이상을 넣은 외인 선수가 두 명이었던 것에 반해 올 시즌에는 6명으로 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조 잭슨(고양 오리온)과 안드레 에밋(전주 KCC)은 매 경기 화려한 빠른 스피드와 스텝, 화려한 테크니션으로 묘기를 선보여 관중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었다. 이들이 맞붙은 챔피언결정전은 모처럼 뜨거운 흥행이 됐고 시리즈 내내 화제를 불러 모았다.
덕분에 오리온은 14년 만에 챔피언결정전 우승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KCC는 챔피언결정전에서는 미끄러졌지만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하면서 단신 외인들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
그러나 달라진 외인 규정이 완벽하게 성공을 거뒀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모든 팀들이 잭슨과 에밋 같은 유형의 단신 선수들을 뽑은 것은 아니었다. 많은 팀들이 ‘언더사이즈 빅맨을 선호하면서 웬델 맥키네스(원주 동부), 커스버트 빅터(울산 모비스) 등의 활약이 두드러지기도 했다.
팀 전술에 맞고 실력이 뛰어난 외인 선수들을 뽑기 위한 일이었지만 당초 취지가 무색해진 것은 사실이다. 일부 단신 외인들은 ‘언더사이즈 빅맨에 밀려 시즌 중 유니폼을 벗기도 했다.
외인들의 볼거리는 늘었지만 정작 토종 선수들의 득점력은 더욱 줄었다. 지난 시즌 득점 상위 15명 중 국내 선수는 5명이었다. 올 시즌에는 1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마저도 단 한명의 국내선수도 득점 베스트 10에 포함되지 못했다. 외인들의 출전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현상이다.
지난 시즌 평균 16.92점을 기록해 유일하게 득점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던 문태영은 올 시즌 15.67점으로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kjlf200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여기에 2라운드부터 3쿼터에 한 해 외인 두 명이 동시에 뛰게 했으며 4라운드부터는 2,3라운드에 동시에 두 명이 코트에 나설 수 있게 하는 등 대대적으로 규정이 변경했다. 시즌 중간에 규정이 변경되면서 비판의 도마에 오르기도 했지만 어느 정도 득점이 늘어나는데 기여한 것은 분명했다.
2014-15시즌에는 창원 LG(80.1점)만이 평균 80점을 넘겼으나 올 시즌에는 안양 KGC인삼공사와 고양 오리온, 창원 LG, 전주 KCC 등 네 팀으로 늘어났다. 개인 기록으로 봐도 지난 시즌 평균 20점 이상을 넣은 외인 선수가 두 명이었던 것에 반해 올 시즌에는 6명으로 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조 잭슨(고양 오리온)과 안드레 에밋(전주 KCC)은 매 경기 화려한 빠른 스피드와 스텝, 화려한 테크니션으로 묘기를 선보여 관중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었다. 이들이 맞붙은 챔피언결정전은 모처럼 뜨거운 흥행이 됐고 시리즈 내내 화제를 불러 모았다.
덕분에 오리온은 14년 만에 챔피언결정전 우승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KCC는 챔피언결정전에서는 미끄러졌지만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하면서 단신 외인들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
그러나 달라진 외인 규정이 완벽하게 성공을 거뒀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모든 팀들이 잭슨과 에밋 같은 유형의 단신 선수들을 뽑은 것은 아니었다. 많은 팀들이 ‘언더사이즈 빅맨을 선호하면서 웬델 맥키네스(원주 동부), 커스버트 빅터(울산 모비스) 등의 활약이 두드러지기도 했다.
팀 전술에 맞고 실력이 뛰어난 외인 선수들을 뽑기 위한 일이었지만 당초 취지가 무색해진 것은 사실이다. 일부 단신 외인들은 ‘언더사이즈 빅맨에 밀려 시즌 중 유니폼을 벗기도 했다.
외인들의 볼거리는 늘었지만 정작 토종 선수들의 득점력은 더욱 줄었다. 지난 시즌 득점 상위 15명 중 국내 선수는 5명이었다. 올 시즌에는 1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마저도 단 한명의 국내선수도 득점 베스트 10에 포함되지 못했다. 외인들의 출전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현상이다.
지난 시즌 평균 16.92점을 기록해 유일하게 득점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던 문태영은 올 시즌 15.67점으로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kjlf200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