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민의당, 분당 위기 모면하고 교섭단체 가시권? 손잡은 안철수 천정배
입력 2016-03-16 08:17 
사진=연합뉴스
국민의당, 분당 위기 모면하고 교섭단체 가시권? 손잡은 안철수 천정배



야권 통합 또는 연대 문제를 놓고 분당의 위기까지 내몰렸던 국민의당이 15일 파국을 겨우 모면했습니다.

연대를 주장하며 당무를 거부했던 '공동창업자'인 천정배 공동대표가 이날 당무에 전격 복귀한 데 따른 것입니다.

이를 계기로 국민의당은 야권연대를 둘러싼 갈등을 일단 봉합하고 한달 남은 총선전에 '올인'할 채비도 갖추게 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정호준 의원의 영입이 유력해지면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이라는 숙원사업 해결도 가시권에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와 천 대표가 화해하면서 '야권연대 최후통첩'을 던졌던 김한길 의원의 입지가 좁아져 창당 초기의 '삼두체제'는 회복하기 어려운 상태로 훼손됐습니다. 세 사람의 희비도 극명하게 교차했습니다.


천 대표의 이번 복귀에 대해 당 안팎에서는 예상밖이라는 반응이 없지 않습니다. 천 대표가 복귀 선언 직전까지 '중대 결심'을 이야기하는 등 강하게 안 대표를 압박했기 때문입니다.

천 대표는 지난 13일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 승전지인 전남 해남 울돌목을 찾아 "이순신 장군이 12척 배가 남았다고 말했듯 우리에게는 1주일의 시간이 있다"며 연대 성사를 위한 결의에 찬 각오를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천 대표가 복귀를 택한 것은 결국 연대를 성사시키기 어렵게 돼버린 당 내외 현실을 인정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옛 새정치민주연합 탈당과 국민회의 창당, 국민의당과 합당에 이어 다시 탈당하는 것은 정치적 부담이 지나치게 컸을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천 대표가 여의도 재입성 이후 줄곧 호남 개혁 정치의 부활에 나서겠다고 한 점을 고려할 때 불출마나 대표직 사퇴를 통한 백의종군 역시 선택하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숩나다.


더민주가 공천에 속도를 더하면서 '연대의 문'을 사실상 닫아버린 것도 천 대표의 선택폭을 좁게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안 대표는 김한길 의원의 지도부 이탈에 이어 천 대표와도 결별할 경우 직면하게 될 분당 사태라는 최악의 위기를 맞았지만 결국 '뚝심'으로 헤쳐나왔습니다.

특히 처음 제기됐던 통합론은 물론 연대론, 부분 연대론까지 모두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관철했다는 데서 안 대표의 '일방적 완승'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아울러 논란 직후부터 직접 더민주를 공격하고 나서고 당내 논란 진화에 앞장서면서 당의 구심으로서 '강철수 리더십'을 보여줬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3당 체제 정립이라는 창당 명분을 각인시키고 세력화 과정에서 흔들렸던 새 정치 이미지를 되살릴 수 있는 계기를 만든 것도 소득으로 꼽힙니다.

총선을 한 달도 남기지 않은 시점에서 당 내분을 극적으로 잠재움으로써 침체된 당 분위기를 반전시킬 기회를 잡은 것도 부수 효과로 평가됩니다.

마침 국민의당은 오는 16일 더민주에서 공천 배제된 정호준 의원의 입당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면에 안 대표는 야권연대 무산을 관철했다는 점에서 총선에서 야권표 분열로 새누리당에 압승을 안길 경우 정치적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한때 안 대표의 정치적 후견인이었다가 지금은 고립무원이 된 김한길 의원이 이날 논평을 통해 "한 달 뒤 결과에 야권 지도자 모두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이를 상기시켰습니다.

김 의원의 향후 행보도 주목됩니다. 앞서 김 의원은 야권연대를 성사시키기 위해 공동선대위원장직 사퇴라는 배수의 진을 쳤으나 안 대표는 이를 수용해 버렸다. "갈테면 가라"는 식으로 결별을 불사하겠다는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을 공동 창당하면서 정치적 공동운명체였던 안 대표와 김 의원의 대립이 계속될 경우 국민의당으로선 총선 선거전에 악재가 될 개연성이 큽니다.

김 의원은 전날 최후통첩을 보내면서 "이번 총선에서 김한길은 결과적으로 수구보수의 집권세력에게 어부지리를 안겨주는 일만은 절대로 하지 못한다"고 언급했다는 점에서 총선 불출마 또는 탈당 가능성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