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분석 / 일동제약 ◆
일동제약이 2년 만에 지주사 전환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다.
일동제약은 지난 9일 공시를 통해 회사를 분할해서 지주사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시장에서는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14일 일동제약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만5100원에 거래를 마쳤고, 이는 공시 이전인 지난 8일 종가보다 2.4% 오른 수치다.
지주사 전환 후 지주회사와 사업회사의 시가총액 합계가 지주사 전환 전 시총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 개인투자자들이 집중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11일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만8074주, 3927주를 순매도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이 5만주 넘게 사들였다.
일동제약은 2년 전인 2014년 1월 임시주주총회에서는 당시 2대 주주였던 녹십자와 3대 주주였던 피델리티의 반대로 지주사 전환이 좌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통과가 유력한 상황이다. 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출석 의결권의 3분의 2를 확보해야 하는데 지금 이미 이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일동제약은 윤원영 회장 외 16인이 31.64%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을 제외한 주요 주주로는 20% 지분을 보유한 사모펀드 썬라이즈홀딩스가 있다. 썬라이즈홀딩스는 녹십자에서 사들인 일동제약 지분 20%를 윤 회장 측과 의결권을 공유하기로 했기 때문에 윤 회장은 사실상 지분 51.64%를 확보하고 있는 셈이다.
일동제약은 사업자회사 '일동제약(가칭)'과 투자회사 '일동홀딩스(가칭)'로 분할될 예정이다. 이어 사업자회사인 일동제약을 다시 분할해 제약 사업을 전담하는 일동제약과 바이오 및 건강기능식품사업부문을 맡는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칭)', 필러 사업을 맡는 '일동히알테크(가칭)'로 나눌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지주사인 일동홀딩스가 일동제약과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일동히알테크를 거느리는 구조로 바뀐다.
일동제약은 오는 6월 24일 임시주주총회를 거쳐 8월 1일 기업분할을 시행하는 일정을 잡았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기업분할을 통해 회사 전체의 자원을 사업부문별로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각 사업의 목적에 맞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여 경영의 안정화와 기업·주주 가치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일동제약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되면 윤 회장 일가의 지배력은 더욱 높아진다. 기업을 사업자회사와 투자회사로 분할하고 주식을 현물출자 방식으로 교환하면 오너 일가는 사업자회사의 지분을 낮추고. 투자회사의 지분을 높일 수 있다. 윤 회장 일가가 보유한 투자회사의 지분율은 50~60%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지주사 체제로 전환돼 경영권이 안정되면 헬스케어·건강식품 등 신사업에 대한 투자 여력도 높아진다. 일동제약은 일동후디스 지분 29.91%, 일동생활건강 지분 100%, 일동에스테틱스 지분 52.80%, 유니기획 지분 100%, 루텍 지분 46.36% 등을 소유하고 있는데 지주사 체제로 전환되면 지주사인 일동홀딩스가 일부 지분을 매각한 자금으로 신사업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일동제약 지주사 전환은 오너 3세인 윤웅섭 사장의 경영권 승계를 염두에 둔 포석으로 볼 수 있다.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주주들은 사업회사 지분을 지주회사 지분으로 바꾸는 현물출자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때 대주주는 지주회사 설립 과세특례에 따라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를 이연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3503억원의 매출액과 2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용환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동제약이 2년 만에 지주사 전환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다.
일동제약은 지난 9일 공시를 통해 회사를 분할해서 지주사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시장에서는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14일 일동제약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만5100원에 거래를 마쳤고, 이는 공시 이전인 지난 8일 종가보다 2.4% 오른 수치다.
지주사 전환 후 지주회사와 사업회사의 시가총액 합계가 지주사 전환 전 시총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 개인투자자들이 집중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11일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만8074주, 3927주를 순매도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이 5만주 넘게 사들였다.
일동제약은 2년 전인 2014년 1월 임시주주총회에서는 당시 2대 주주였던 녹십자와 3대 주주였던 피델리티의 반대로 지주사 전환이 좌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통과가 유력한 상황이다. 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출석 의결권의 3분의 2를 확보해야 하는데 지금 이미 이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일동제약은 윤원영 회장 외 16인이 31.64%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을 제외한 주요 주주로는 20% 지분을 보유한 사모펀드 썬라이즈홀딩스가 있다. 썬라이즈홀딩스는 녹십자에서 사들인 일동제약 지분 20%를 윤 회장 측과 의결권을 공유하기로 했기 때문에 윤 회장은 사실상 지분 51.64%를 확보하고 있는 셈이다.
일동제약은 사업자회사 '일동제약(가칭)'과 투자회사 '일동홀딩스(가칭)'로 분할될 예정이다. 이어 사업자회사인 일동제약을 다시 분할해 제약 사업을 전담하는 일동제약과 바이오 및 건강기능식품사업부문을 맡는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칭)', 필러 사업을 맡는 '일동히알테크(가칭)'로 나눌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지주사인 일동홀딩스가 일동제약과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일동히알테크를 거느리는 구조로 바뀐다.
일동제약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되면 윤 회장 일가의 지배력은 더욱 높아진다. 기업을 사업자회사와 투자회사로 분할하고 주식을 현물출자 방식으로 교환하면 오너 일가는 사업자회사의 지분을 낮추고. 투자회사의 지분을 높일 수 있다. 윤 회장 일가가 보유한 투자회사의 지분율은 50~60%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지주사 체제로 전환돼 경영권이 안정되면 헬스케어·건강식품 등 신사업에 대한 투자 여력도 높아진다. 일동제약은 일동후디스 지분 29.91%, 일동생활건강 지분 100%, 일동에스테틱스 지분 52.80%, 유니기획 지분 100%, 루텍 지분 46.36% 등을 소유하고 있는데 지주사 체제로 전환되면 지주사인 일동홀딩스가 일부 지분을 매각한 자금으로 신사업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일동제약 지주사 전환은 오너 3세인 윤웅섭 사장의 경영권 승계를 염두에 둔 포석으로 볼 수 있다.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주주들은 사업회사 지분을 지주회사 지분으로 바꾸는 현물출자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때 대주주는 지주회사 설립 과세특례에 따라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를 이연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3503억원의 매출액과 2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용환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