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다른 사람 돕는 행위에 숨겨진 동기 구별할 수 있다”
입력 2016-03-04 11:53 

사람들이 남을 돕는 행위의 이면에 숨겨진 동기를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심리학에서는 사람들이 남을 돕는 핵심적인 동기로 공감과 상호성을 꼽는다. 예를 들어 길거리에 넘어진 사람을 도와주는데 A씨의 경우 넘어진 사람의 아픔에 공감해 돕는 것이고 B씨는 예전에 자기가 넘어졌을 때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받은 적이 있어 보답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구분된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숨겨진 이같은 동기를 밝혀낸 연구결과가 지난 4일 세계적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지에 소개됐다. 이공계 분야 국내 교수들의 연구결과가 사이언스지에 실리는 경우는 종종 있었지만 국내 심리학과 교수의 논문이 세계적 과학저널에 게재된 것은 이례적이다.
부산대는 설선혜 심리학과 교수가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이 남을 돕는 행위(helping behavior)에 관여하는 뇌신경학적 연구결과가 사이언스지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설 교수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사회·신경시스템 연구소 소속의 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인 그릿 하인(Grit Hein) 박사 등이 공동연구해 작성한 것이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는 동기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남을 돕는 이타적 행동은 겉으로 드러난 행동만으로는 돕는 동기가 무엇인지 알아내기 어렵다. 본인에게 직접 물어봐도 그렇게 행동하는 이유를 잘 모르거나 솔직하게 밝히기를 꺼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논문은 도움 행동에 관여하는 뇌 영역들 간의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해 돕는 행위의 숨겨진 동기를 예측해낼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국제 공동연구팀은 스위스 성인 여성 34명을 대상으로 뇌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를 활용해 각기 다른 도움 행동의 동기를 유발하는 조건(공감 조건, 상호성 조건)이 주어질 때마다 뇌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 관찰에서 남을 돕는 행동을 하는 데 관여하는 뇌 영역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 패턴을 통해 각 행동의 숨겨진 동기(공감, 상호성)를 분석했다.
설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 연결성 패턴을 통해 사회적 행동의 숨은 동기를 읽어내고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학계 최초의 연구결과”라며 ‘우리가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에 답을 찾는 새로운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