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상위권 대학 졸업자의 생활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는 별개로 출신 대학의 ‘간판에 따라 삶의 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15일 김영철 상명대 금융경제학과 교수가 발표한 행복은 성적 순이 아니잖아요? : ‘학력(학벌)의 비경제적 효과 추정” 논문을 통해 도출됐다.
이 논문은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7차 연도 조사를 기반으로 분석이 이뤄졌다. KLIPS 자료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00가구와 해당 가구에 거주하는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매년 1회씩 조사가 이뤄진다. 김 교수는 매 연도마다 특별 설문을 실시하는데 7차 연도에는 사회 및 직장 등에서의 차별경험 관련 설문이 포함돼 연구에 사용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해당 조사에 참여한 9997명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 출신 대학 수준과 학력 수준을 세분화해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했다. 학력 수준은 대학별 입학생 평균 대입성적을 추정해 상위권대(10개), 중상위권대(30개), 중위권대(40개), 기타 4년제 대학, 전문대, 고졸, 중졸 이하로 분류했다.
그 결과 전체 인원 중 ‘만족 혹은 매우 만족스럽다고 응답한 인원의 비율은 상위권대(54.0%), 중상위권대(46.4%), 중위권대(42.4%), 기타 4년제대(46.2%), 전문대(35.1%), 고졸(28.8%), 중졸 이하(23.1%)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학력 수준이 높을 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직업의 지위를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경우 대학 졸업자의 만족도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권 대학 출신의 만족도가 전문대 졸업자를 기준으로 20.3%포인트 높게 나타나 중상위권(10.5%포인트)와 중위권(6.6%포인트)를 뛰어넘는 ‘명문대 효과를 보였다.
[박대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