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단전·단수는 어떤 절차로 이루어지나 보니…"방침 나오면 작업 진행할 것"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중단 후속조치로 단전과 단수를 검토하면서 조만간 개성공단에 전기와 물 공급이 중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개성공단에 전력을 공급 중인 한국전력[015760]은 현지에 직원 6명을 남겨둔 채 단전 여부와 관련한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으며 수자원공사도 정부 방침에 맞춰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할 예정입니다.
정부 방침이 결정되면 단전이나 전기공급 감축은 곧바로 실행할 수 있으며 단수 조치가 마무리되는 데는 2~3일 가량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 단전…평소 3만~4만㎾ 송전 = 한전 관계자는 11일 "단전이나 전력 공급 감축하는 데 복잡한 과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서 정부 방침만 정해지면 곧바로 실행할 수 있다"며 "단전 등이 결정되면 직원 6명은 관련 절차를 현지에서 마무리한 뒤 철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전은 현재 경기도 문산변전소를 거쳐 154㎸ 송전선로를 따라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보냅니다. 송전된 전력은 평화변전소에서 변압 과정을 거친 뒤 배전 방식으로 공단 내 시설 등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평화변전소의 총 용량은 10만㎾ 수준이며 한전은 평소 3만~4만㎾ 정도를 보내고 있습니다. 개성공단에는 평소 한전 직원 14명이 머무르고 있었으며 지난 설 연휴를 맞아 체류 인원이 줄었습니다.
한전은 2013년 북측이 개성공단을 폐쇄하자 평소 10분의 1 수준인 3천㎾ 안팎의 전력만 배전 방식으로 공급한 바 있습니다. 이는 공단 내 관리동·사무동의 전등을 밝히고 정수장을 돌릴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 규모였습니다.
한전은 지난 2007년 평화변전소를 준공하고 59년 만에 송전방식으로 북측에 전력을 공급해왔습니다.
한전은 앞선 2005년 3월부터 개성공단 시범단지와 본 단지 일부 입주기업에 이미 전력을 공급해왔으나 이는 일반적 송전방식이 아니라 문산변전소에서 변압된 전력을 1만5천kW 범위 내에서 배전방식으로 공급하는 형태였습니다.
개성공단에 액화천연가스(LNG)를 공급하고 있는 한국가스공사[036460]도 정부의 지침에 따라 공급 중단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
가스공사는 LNG를 14.5t짜리 탱크로리에 실어서 개성공단으로 옮기고 있습니. LNG는 개성공단 내 저장탱크에 보관된 뒤 현지 배관 시설을 통해 아파트 난방용 등으로 공급된다. 연간 공급 규모는 300t 가량입니다.
가스공사 외에 SK 등 민간 에너지기업에서는 액화석유가스(LPG)를 차량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민간 업체의 LPG 공급량이 가스공사의 LNG 공급량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단수…매일 1만7천t 공급 = 11일 통일부와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정부는 개성공단 가동과 함께 공단 인근에 있는 월고저수지에 취·정수시설을 설치, 개성공단은 물론 개성시민에게 물을 공급해왔습니다.
정수장을 위탁 운영해온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 620만t 정도의 물을 공급했으며 가뭄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1만7천t의 물을 매일 취수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7천t은 개성공단 운영에 들어가고 나머지 1만t은 개성시민이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함께 물 공급도 전면 차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통일부와 수자원공사가 북한의 가뭄에 대비해 추진해 온 제2 취수장 건설 사업도 전면 보류될 전망입니다.
개성공단의 물 공급은 2013년 북한의 제3차 핵실험으로 공단을 잠정 폐쇄했을 때 중단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개성공단에 물 공급을 끊었어도 개성시민에 대한 물 공급은 인도적 차원에서 계속 유지했습니다.
통일부 등 관련 부처에서는 이런 사안들을 고려해 개성공단 단수 시기와 폭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개성공단 물 공급을 중단하면 사실상 공단 가동이 불가능해집니다. 현재로는 북한이 자체 보유한 개성공단 정수시설이 없어서 물 공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사실상 개성공단 폐쇄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의 개성공단 단수 방침이 확정되더라도 실제 2~3일은 지나서야 물 공급이 완전히 중단됩니다. 일부 시설물을 폐쇄하고 정수시설을 봉인하는 절차가 그 정도 걸리기 때문입니다.
개성공단에 대한 단수 조치는 남측 인원과 장비에 대한 철수가 마무리된 시점에서 북측과의 협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개성공단 정수장 상주인력이 7명인데 현재는 3명이 현장을 지키고 있다"며 "정부 방침이 결정되면 거기에 맞춰 개성공단 정수시설에 대한 후속 조치가 신속히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중단 후속조치로 단전과 단수를 검토하면서 조만간 개성공단에 전기와 물 공급이 중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개성공단에 전력을 공급 중인 한국전력[015760]은 현지에 직원 6명을 남겨둔 채 단전 여부와 관련한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으며 수자원공사도 정부 방침에 맞춰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할 예정입니다.
정부 방침이 결정되면 단전이나 전기공급 감축은 곧바로 실행할 수 있으며 단수 조치가 마무리되는 데는 2~3일 가량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 단전…평소 3만~4만㎾ 송전 = 한전 관계자는 11일 "단전이나 전력 공급 감축하는 데 복잡한 과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서 정부 방침만 정해지면 곧바로 실행할 수 있다"며 "단전 등이 결정되면 직원 6명은 관련 절차를 현지에서 마무리한 뒤 철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전은 현재 경기도 문산변전소를 거쳐 154㎸ 송전선로를 따라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에 전력을 보냅니다. 송전된 전력은 평화변전소에서 변압 과정을 거친 뒤 배전 방식으로 공단 내 시설 등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평화변전소의 총 용량은 10만㎾ 수준이며 한전은 평소 3만~4만㎾ 정도를 보내고 있습니다. 개성공단에는 평소 한전 직원 14명이 머무르고 있었으며 지난 설 연휴를 맞아 체류 인원이 줄었습니다.
한전은 2013년 북측이 개성공단을 폐쇄하자 평소 10분의 1 수준인 3천㎾ 안팎의 전력만 배전 방식으로 공급한 바 있습니다. 이는 공단 내 관리동·사무동의 전등을 밝히고 정수장을 돌릴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 규모였습니다.
한전은 지난 2007년 평화변전소를 준공하고 59년 만에 송전방식으로 북측에 전력을 공급해왔습니다.
한전은 앞선 2005년 3월부터 개성공단 시범단지와 본 단지 일부 입주기업에 이미 전력을 공급해왔으나 이는 일반적 송전방식이 아니라 문산변전소에서 변압된 전력을 1만5천kW 범위 내에서 배전방식으로 공급하는 형태였습니다.
개성공단에 액화천연가스(LNG)를 공급하고 있는 한국가스공사[036460]도 정부의 지침에 따라 공급 중단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
가스공사는 LNG를 14.5t짜리 탱크로리에 실어서 개성공단으로 옮기고 있습니. LNG는 개성공단 내 저장탱크에 보관된 뒤 현지 배관 시설을 통해 아파트 난방용 등으로 공급된다. 연간 공급 규모는 300t 가량입니다.
가스공사 외에 SK 등 민간 에너지기업에서는 액화석유가스(LPG)를 차량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민간 업체의 LPG 공급량이 가스공사의 LNG 공급량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단수…매일 1만7천t 공급 = 11일 통일부와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정부는 개성공단 가동과 함께 공단 인근에 있는 월고저수지에 취·정수시설을 설치, 개성공단은 물론 개성시민에게 물을 공급해왔습니다.
정수장을 위탁 운영해온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 620만t 정도의 물을 공급했으며 가뭄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1만7천t의 물을 매일 취수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7천t은 개성공단 운영에 들어가고 나머지 1만t은 개성시민이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함께 물 공급도 전면 차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통일부와 수자원공사가 북한의 가뭄에 대비해 추진해 온 제2 취수장 건설 사업도 전면 보류될 전망입니다.
개성공단의 물 공급은 2013년 북한의 제3차 핵실험으로 공단을 잠정 폐쇄했을 때 중단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개성공단에 물 공급을 끊었어도 개성시민에 대한 물 공급은 인도적 차원에서 계속 유지했습니다.
통일부 등 관련 부처에서는 이런 사안들을 고려해 개성공단 단수 시기와 폭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개성공단 물 공급을 중단하면 사실상 공단 가동이 불가능해집니다. 현재로는 북한이 자체 보유한 개성공단 정수시설이 없어서 물 공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사실상 개성공단 폐쇄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의 개성공단 단수 방침이 확정되더라도 실제 2~3일은 지나서야 물 공급이 완전히 중단됩니다. 일부 시설물을 폐쇄하고 정수시설을 봉인하는 절차가 그 정도 걸리기 때문입니다.
개성공단에 대한 단수 조치는 남측 인원과 장비에 대한 철수가 마무리된 시점에서 북측과의 협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개성공단 정수장 상주인력이 7명인데 현재는 3명이 현장을 지키고 있다"며 "정부 방침이 결정되면 거기에 맞춰 개성공단 정수시설에 대한 후속 조치가 신속히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