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기준금리 동결…중국발 악재와 저유가로 인한 경기 둔화 영향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27일(현지시간) 금리동결을 택한 것은 글로벌 경기둔화로 미국 경제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25∼0.5%로 동결한다고 발표하면서 경기가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있으며 물가도 중기적으로 2%에 올라서고 경제활동 역시 완만한 확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중국발 악재와 저유가 등 탓에 경기 둔화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연준은 성명에서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이것이 고용시장과 물가에 미칠 영향을 평가할 것"이라고 말해 그 같은 우려가 저변에 깔려 있음을 내비쳤다.
또 지난해 12월 금리인상을 단행해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한 이래 경제성장이 둔화됐다는 점을 지적하는가 하면 당시 성명에서 "견조하다"고 평했던 가계지출과 기업의 고정자산 투자에 대해서도 "완만하다"로 시각을 바꿨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및 미 경제상황에 대한 미 연준의 이러한 평가와 더불어 '향후 금리인상은 점진적'이라는 표현을 다시 사용한 것을 들어 3월 정례회의에서도 금리 동결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연준은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 변동이 "(미국) 노동시장과 물가, 경제전망에 대한 위험요인들이 균형에 어떤 영향을 줄지 평가하겠다"고 밝혀 대외요인이 미 경제에 미칠 여파를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드러냈다.
이러한 전망에 따라 미 증시는 즉각 하락세를 나타냈다. 마켓워치는 "연준이 경제상황을 우려하면서 주가가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연준이 연내 서너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해 통화정책을 정상화할 것이라던 당초의 기대도 낮아졌다는 관측까지 제기됐다.
지난해 말 성급한 긴축, 즉 금리인상으로 인해 미국 경제의 침체와 중국발 위기, 신흥시장의 자본유출, 유가 폭락 사태 등이 비롯됐다는 시장 일각의 불만에 대해 연준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성명에서 '금리 동결' 결정을 언급한 이후의 부분은 지난해 12월과 같았다.
지난해 9월 성명에서처럼 현재의 금융시장이 미국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줬는지 기술함으로써 이후 금리인상 계획이 더 늦어질 수 있음을 시사해 주기 바랐던 일부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예상과 다른 결과였다.
바클레이스 투자은행의 마이클 게펜 수석연구원은 USA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연준이 현재 경제여건이나 금융시장 상황에 대한 영향을 성명에 넣었다면 "올해 네 번 대신 두 번의 금리인상만이 가능하다는 해석도 나왔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올릴 당시 배럴당 30달러대 후반이던 국제유가가 최근 한때 20달러대로도 떨어진 점에 대해 연준은 "부분적으로는 에너지 가격의 추가하락으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단기적으로 낮게 유지될 것"이라고 이날 성명에서 언급했다.
이는 물가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금리의 추가인상이 어렵다는 예고로 풀이된다.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결과 성명의 분량도 558단어로 지난해 12월 금리인상을 발표할 때의 596단어에 비해 두드러지게 줄었다.
이런 연준의 결정에 자산운용사 노던트러스트의 아샤 방갈로르 연구원은 "그들(연준)의 목적이 금융시장에 새로운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려는 것이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연준이 향후의 경제전망, 나아가 금리인상 계획에 대해 말을 아낀 점이 오는 3월의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상반된 해석도 제기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이 미국 국채선물 가격 동향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을 보면 오는 3월 FOMC 정례회의에서도 금리가 동결될 확률이 71%로 전날의 69.1%보다 소폭 증가했다.
기준금리 동결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27일(현지시간) 금리동결을 택한 것은 글로벌 경기둔화로 미국 경제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를 0.25∼0.5%로 동결한다고 발표하면서 경기가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있으며 물가도 중기적으로 2%에 올라서고 경제활동 역시 완만한 확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중국발 악재와 저유가 등 탓에 경기 둔화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연준은 성명에서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이것이 고용시장과 물가에 미칠 영향을 평가할 것"이라고 말해 그 같은 우려가 저변에 깔려 있음을 내비쳤다.
또 지난해 12월 금리인상을 단행해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한 이래 경제성장이 둔화됐다는 점을 지적하는가 하면 당시 성명에서 "견조하다"고 평했던 가계지출과 기업의 고정자산 투자에 대해서도 "완만하다"로 시각을 바꿨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및 미 경제상황에 대한 미 연준의 이러한 평가와 더불어 '향후 금리인상은 점진적'이라는 표현을 다시 사용한 것을 들어 3월 정례회의에서도 금리 동결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연준은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 변동이 "(미국) 노동시장과 물가, 경제전망에 대한 위험요인들이 균형에 어떤 영향을 줄지 평가하겠다"고 밝혀 대외요인이 미 경제에 미칠 여파를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드러냈다.
이러한 전망에 따라 미 증시는 즉각 하락세를 나타냈다. 마켓워치는 "연준이 경제상황을 우려하면서 주가가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연준이 연내 서너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해 통화정책을 정상화할 것이라던 당초의 기대도 낮아졌다는 관측까지 제기됐다.
지난해 말 성급한 긴축, 즉 금리인상으로 인해 미국 경제의 침체와 중국발 위기, 신흥시장의 자본유출, 유가 폭락 사태 등이 비롯됐다는 시장 일각의 불만에 대해 연준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성명에서 '금리 동결' 결정을 언급한 이후의 부분은 지난해 12월과 같았다.
지난해 9월 성명에서처럼 현재의 금융시장이 미국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줬는지 기술함으로써 이후 금리인상 계획이 더 늦어질 수 있음을 시사해 주기 바랐던 일부 금융시장 전문가들의 예상과 다른 결과였다.
바클레이스 투자은행의 마이클 게펜 수석연구원은 USA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연준이 현재 경제여건이나 금융시장 상황에 대한 영향을 성명에 넣었다면 "올해 네 번 대신 두 번의 금리인상만이 가능하다는 해석도 나왔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올릴 당시 배럴당 30달러대 후반이던 국제유가가 최근 한때 20달러대로도 떨어진 점에 대해 연준은 "부분적으로는 에너지 가격의 추가하락으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단기적으로 낮게 유지될 것"이라고 이날 성명에서 언급했다.
이는 물가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금리의 추가인상이 어렵다는 예고로 풀이된다.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결과 성명의 분량도 558단어로 지난해 12월 금리인상을 발표할 때의 596단어에 비해 두드러지게 줄었다.
이런 연준의 결정에 자산운용사 노던트러스트의 아샤 방갈로르 연구원은 "그들(연준)의 목적이 금융시장에 새로운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려는 것이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연준이 향후의 경제전망, 나아가 금리인상 계획에 대해 말을 아낀 점이 오는 3월의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상반된 해석도 제기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이 미국 국채선물 가격 동향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을 보면 오는 3월 FOMC 정례회의에서도 금리가 동결될 확률이 71%로 전날의 69.1%보다 소폭 증가했다.
기준금리 동결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