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주택사업 체감 경기 지표가 또 떨어져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지난해 11월까지 기준선(100)을 웃돌며 양호한 흐름을 유지해 온 주택사업환경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은행권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 발표, 집단대출 규제, 공급과잉 논란 등으로 악재가 겹치면서 급격히 악화됐다는 분석이다.
2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전국 주택사업환경지수 1월 전망치가 한 달 전보다 13.1포인트,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2포인트 하락한 52.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65.7) 이후 2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하회해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다. 주택사업환경 전망지수가 지난달 보다 상승한 지역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주택사업환경지수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에 소속된 500개 이상 회원사의 주택공급 가격·실적·계획·수주 등 주택사업 현황과 전망 등을 조사·집계한 지표인 주택경기실사지수(HBSI) 가운데 하나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나빠질 것이라고 답한 업체보다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면 반대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지수가 하락했다. 서울 전망치는 지난달보다 10.0포인트 감소한 71.6을 기록했다. 수도권 전망치는 49.2, 지방은 56.0으로 지난달 대비 각각 17.6포인트, 21.0포인트 떨어지면서 2013년 하반기 수준으로 후퇴했다. 특히 국토연구원은 경기·광주·충북·충남·전남 지역의 주택사업환경지수 1월 전망치가 40선을 기록하면서 주택사업환경이 급격히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주택사업환경지수가 지난달 대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지역은 그동안 청약시장을 이끌어온 부산이었다. 부산 1월 전망치는 56.4로 지난달(90)보다 33.6포인트나 고꾸라졌다.
건설사들의 분양계획 전망지수도 지난해 11월 120.2를 기록한 이후 2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하회해 1월 전망치는 82.3을 기록했다. 미분양 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12.7포인트 증가한 108.6으로 40개월만에 기준선(100)을 넘어 미분양 증가에 대한 우려감이 커졌다.
[신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