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중국발 쇼크'가 진정된 가운데 애플과 애플 부품업체들의 주가가 급락세를 보인 여파로 혼조세를 나타냈다.
5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72포인트(0.06%) 상승한 1만7158.66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05포인트(0.20%) 오른 2016.7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66포인트(0.24%) 내린 4891.4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소폭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중 상승과 하락 영역을 넘나들다 혼조세로 마감했다.
전날 증시 급락을 이끌었던 중국 관련 우려가 완화된 것은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애플을 비롯해 애플 부품업체들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인 것은 부정적인 재료로 작용했다. 국제 유가가 공급 과잉 우려로 하락한 것도 약세 재료였다.
애플과 애플 부품업체들의 주가는 아이폰 6S 생산량 감소 전망에 하락했다.
애플은 2.5% 떨어졌고, 부품업체인 아바고테크놀로지가 3.3%, 인벤센스가 1.9%, 시러스로직이 5.9% 급락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올해 1월~3월 아이폰 생산량이 기존 예상보다 30%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보도한 것이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뉴욕유가는 전세계 공급 과잉 우려 상존과 중국의 성장률 둔화 우려, 달러화 강세로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79센트(2.2%) 낮아진 35.97달러에 마쳐 작년 12월21일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중국증시가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전날과 달리 다소 안정된 데다 중동발 지정학적 불안정이 상존했음에도 중국 성장률 둔화 우려와 전세계 공급 과잉 지속 전망으로 유가가 하락압력을 받았다.
업종별로는 소재업종과 기술업종 등이 소폭 하락한 반면, 에너지업종과 금융업종, 헬스케어업종, 산업업종은 상승했다. 업종별 등락폭은 1% 미만으로 크지 않았다.
다우지수 구성종목 중에서는 골드만삭스와 월트디즈니가 각각 1%와 2% 이상 떨어진 반면 듀폰과 맥도날드는 각각 1% 넘게 상승했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72포인트(0.06%) 상승한 1만7158.66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05포인트(0.20%) 오른 2016.7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66포인트(0.24%) 내린 4891.4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소폭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중 상승과 하락 영역을 넘나들다 혼조세로 마감했다.
전날 증시 급락을 이끌었던 중국 관련 우려가 완화된 것은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애플을 비롯해 애플 부품업체들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인 것은 부정적인 재료로 작용했다. 국제 유가가 공급 과잉 우려로 하락한 것도 약세 재료였다.
애플과 애플 부품업체들의 주가는 아이폰 6S 생산량 감소 전망에 하락했다.
애플은 2.5% 떨어졌고, 부품업체인 아바고테크놀로지가 3.3%, 인벤센스가 1.9%, 시러스로직이 5.9% 급락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올해 1월~3월 아이폰 생산량이 기존 예상보다 30%가량 감소할 것이라고 보도한 것이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뉴욕유가는 전세계 공급 과잉 우려 상존과 중국의 성장률 둔화 우려, 달러화 강세로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79센트(2.2%) 낮아진 35.97달러에 마쳐 작년 12월21일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중국증시가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전날과 달리 다소 안정된 데다 중동발 지정학적 불안정이 상존했음에도 중국 성장률 둔화 우려와 전세계 공급 과잉 지속 전망으로 유가가 하락압력을 받았다.
업종별로는 소재업종과 기술업종 등이 소폭 하락한 반면, 에너지업종과 금융업종, 헬스케어업종, 산업업종은 상승했다. 업종별 등락폭은 1% 미만으로 크지 않았다.
다우지수 구성종목 중에서는 골드만삭스와 월트디즈니가 각각 1%와 2% 이상 떨어진 반면 듀폰과 맥도날드는 각각 1% 넘게 상승했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