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대상포진 예방법, 50대 이상 중장년 여성 '대상포진 주의보'…'옷깃만 스쳐도 아프다'
입력 2015-12-24 07:41  | 수정 2015-12-25 15:02
대상포진 예방법/사진=MBN
대상포진 예방법, 50대 이상 중장년 여성 '대상포진 주의보'…'옷깃만 스쳐도 아프다'

지난해 대상포진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10명 중 6명은 50대 이상이며,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1.6배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에 대상포진 예방법이 누리꾼들의 관심을 사로잡았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대상포진(질병코드 B02) 질환 건강보험 지급 분석결과를 보면, 2009년 45만명이었던 대상포진 환자는 2014년 64만명으로 늘어 연평균 7.3%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진료비도 2009년 884억원에서 2014년 1천258억원으로 늘어 매년 7.3%씩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보면 50대가 25.6%, 60대 18.5%, 70대 12.7% 등으로 60.9%가 50대 이상이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 환자의 비중은 남성(56.9%)보다 여성(63.5%)이 더 높았습니다.

성별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1.6배 많습니다.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앓았던 수두 바이러스가 없어지지 않고, 특정 신경 속에 있다가 몸이 약해지거나 면역력이 떨어질 때 다시 활동하는 질병이며, 피부에 띠 모양으로 발진해 수포가 생기고 극심한 통증이 뒤따릅니다.

강연승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몸이 약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 환자나 심하게 피곤한 사람에게서 대상포진이 잘 생긴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발병 후 피부에 생긴 물집 등은 대부분 2~4주가 지나 흉터나 색소 침착을 남기고 낫게 되지만, 통증이 심해져 예리하고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들고 시간이 지나면서 옷깃만 스쳐도 아플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찾아 발병 초기부터 피부 증상에 대한 약물치료와 통증 치료를 병행해 신경통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규칙적인 운동과 생활습관 등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게 중요하며, 극심한 스트레스나 체력 저하, 과로, 만성피로 등을 피하고 예방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강 교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하면 치료가 잘 안 되며 통증으로 잠을 잘 수 없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통증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