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미세먼지, 급성심정지 불러 위험
입력 2015-12-22 17:53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민슬기 인턴기자]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을 웃도는 가운데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 눈길을 끈다.
서울대병원이 서울에서 발생한 '급성 심정지' 2만 1천여 건을 분석한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10 높아질 때마다 '급성 심정지' 발생률은 1.3% 증가했다.
초미세먼지는 호흡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심장까지 멎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급성 심정지'는 갑자기 심장이 작동을 멈추는 증상으로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3만 명이 숨졌고 평소에 특별한 심장병 증상이 없어도 나타날 수 있다.

오세일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는 "초미세먼지가 허파로 들어가서 허파꽈리를 통해 혈액으로 흡수가 되고, 관상동맥에 혈전이 생겨서 혈관이 막히면 심장마비로 이어진다"고 밝히며 마스크 사용을 당부했다.
연구진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당일보다 하루나 이틀 뒤에 급성심정지의 위험률이 더 높게 나타났고, 여성보다는 남성이, 또 당뇨나 고혈압 환자는 더 취약했다고 설명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