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국을 스마트그리드 그물망으로 ‘2016년부터 5600억원 투입’
입력 2015-12-22 17:24 

지난 12일 파리 기후변화협정 체결과 함께 신 기후체제가 출범하면서 스마트그리드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을 결합시킨 차세대 저녁인프라 시스템을 의미한다. 기존 전력망은 전력을 공급자에서 수요자로 전달하는 일방향 시스템인데 반해 스마트그리드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 실시간 수요관리와 신재생 에너지 연계, 전기차 충전 등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우리 나라가 미래 먹거리로 주목하고 있는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필수 인프라이기도 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13개 지자체 관계자와 한국전력, SKT, KT 등 스마트그리드 사업자 8곳 그리고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스마트그리드사업단과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 따라 정부가 민간과 공동으로 2016년부터 3년에 걸쳐 전국 13개 지방자치단체에 스마트그리드 거점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가지는 파리협정의 채택으로 기존 에너지 시스템의 대대적인 전환이 가속화되고 에너지신산업은 급속히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력 수요자인 가정이나 공장은 전력 공급 데이터를 확인하고 피크 시간대나 시기를 피해 전력을 사용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다. 태양열 등을 통해 가정에서 생산한 신재생 에너지를 전력시장에 파는 일도 스마트그리드 인프라가 구축을 통해 가능해진다. 기존의 중앙집중적 전력공급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력 자원이 확보되는 셈이다.
이귀현 에너지신산업진흥과장은 에너지 효율화 컨설팅이나 전력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그밖에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위해 필요한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에너지신산업이 창출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창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그리드 시장은 전세계적으로도 지속적 성장추세다. BNEF(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가 조사한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시장 규모는 2011년 132억달러에서 2014년에는 166억달러로 성장했다. 2017년에는 227억달러로 커져 연평균 1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EU, 중국,일본 등 주요국들이 경쟁적으로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하고 있어 향후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주력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우선 정부와 민간 스마트그리드 사업자 8곳은 2018년까지 3년 동안 국비 660억원 등 총 5668억원을 투입해 전국 13개 지역에 스마트그리드 거점을 마련한다. 거점지역에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필요한 인프라가 보급되고 민간 사업자들은 주민 수요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그리드 모델을 구축한다. 이들 지역은 효율적 전력소비 유도, 자체생산 전력 사용을 통해 전력사용량을 최대 10%까지 절감할 계획이다. 확보된 스마트그리드 거점은 2025년까지 민간기업들이 의무로 운영하고 2030년까지는 민간이 주도한 가운데 스마트그리드를 전국으로 확산시킨다는 복안이다.
문재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이날 협약식에서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이라는 에너지신산업의 4대 분야를 모두 관통하는 연결고리”라며 스마트그리드가 조기에 구축돼 에너지신산업의 꽃을 피우는 데 총력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영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