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공공사업을 수주한 기업들은 향후 드론(무인기)을 사용해 현장측량 등을 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섰다. 드론을 활성화시켜 생산성을 높이면 예산을 감축할 수 있고, 드론사업도 키울 수 있는 ‘일석이조 효과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은 도로건설 등 공공사업에 드론과 무인(자동제어) 포크레인 등 첨단기술 사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교통성은 우선 내년에 발주하는 공공사업의 20%에 대해 이를 의무화하고 2020년에는 모든 공공사업에 의무화할 계획이다. 국토교통성이 독자 발주하는 공공사업은 연간 2조5000억엔에 달한다. 이 가운데 내년에 약 5000억~6000억엔의 공사에 우선 적용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도로 제방 등의 기초공사에 드론을 활용해 3D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측량을 하면 지금처럼 땅 위에서 측량하는 것보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데이터를 무인 포크레인으로 전송해 공사를 진행할 경우 숙련작업자 없이도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이런 시스템이 정착되면 생산효율은 50% 이상 높아지고, 작업인원은 3분의 1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인력 감소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공공사업에 드론과 무인포크레인 사용 의무화를 추진하고 나선 것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무인기기 시장을 일본 기업이 장악할 수 있도록 시장을 넓혀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일본 정부는 최근 관민회의를 열고 오는 2020년까지 드론택배서비스와 무인자동차 주행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대대적으로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도요타, 혼다 등 자동차업계와 소니 등 전자업계는 무인차와 드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도쿄 = 황형규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