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안화·원화, 이르면 연내 직거래 환율 거래
입력 2015-10-27 15:28 
1위안당 원화값, [자료 = 서울외국환중개]
1위안당 원화값, [자료 = 서울외국환중개]

이르면 올해 안에 중국 위안화를 사고 팔 때 미국 달러화에 연동된 재정환율 대신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에서 형성되는 ‘직거래 환율이 쓰이게 된다. 지난해 12월 열린 원·위안화 직거래시장이 한단계 ‘업그레이드되는 셈이다. 또 다음 달부터는 중국에서도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열릴 전망이다. 원화의 해외 첫 현물 직거래 시장이 열리는 것이다.
27일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기재부는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원·위안화 거래시 기준환율을 미 달러화에 연동된 재정환율에서 직거래시장에서 형성된 환율로 대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직거래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이 실제 시장가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어 재정환율을 매매기준율로 삼아왔던 것”이라며 하지만 직거래시장이 시장가격을 반영할 수 있을 정도로 성숙한 만큼 가급적 올해 안에 직거래 환율이 원·위안화 거래의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최근 원·위안화간 직거래 규모가 월 20억달러 안팎에 달하는 등 거래량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다 매수·매도 호가 차이도 좁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어 직거래시장에서 형성된 환율도 경쟁력이 있다는 게 정부의 평가다.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직거래시장에서 형성된 위안화 가격이 재정환율보다 저렴하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직거래시장에서 형성된 1위안당 원화값(분기 평균)은 1분기 176.21원, 2분기 176.83원, 3분기 184.58원이다. 재정환율을 기준으로 한 1위안당 원화값이 1분기 176.45원, 2분기 176.95원, 3분기 185.44원이었음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원화가치가 더 높아진다.
이르면 다음달부터 중국 내에서도 원·위안화 직거래가 시작될 전망이어서 원·위안화의 거래는 한층 더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중국매일경제신문에 따르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상하이거래소에서 위안화-원화 직거래를 허가하기로 했다. 31일로 예정된 리커창 중국 총리의 방한을 앞두고 한중 금융협력의 상징적 조치로 해석된다.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세종 =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