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정부 아파트 화재 등 잇딴 대형 참사에도 안전 불감증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미희 교수(원광대 소방행정학)가 대원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공동주택 화재 대피시설의 중요성과 국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아파트에 사는 서울 시민 절반(49.4%)이 현재 아파트에서 불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화재 위험성을 의식하면서도 정작 대피 시설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피시설에 대해서는 32.4%이 ‘있는지 모른다고 응답해 화재 불감증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피시설이 아예 없다고 답한 비중도 29.8%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3층 이상 아파트에 사는 서울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4.38%포인트) 했다.
업계에서는 신축 아파트 최소 80%가 대피시설이 미흡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행 건축법에는 아파트는화재에 대비해 지상이나 피난층까지 통하는 2곳 이상 직통 계단을 설치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건축법에는 또 2개 이상 직통 계단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세대별 대피 공간을 설치하는 예외 규정이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고층 아파트 증가 추세에 비춰봤을 때 예외 규정이 안전 사각지대를 키우는 근거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전설비 업체인 비투텍의 이봉운 대표는 건설업계에서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임시 대피공간을 설치하고 있다”며 2013년 이후 건설된 신축 아파트 80% 이상이 직통 계단 대신 세대별 대피공간을 설치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15층 이상 고층 아파트는 소방차 고가 사다리로 구조가 어려울 정도로 고층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대부분 아파트들이 대피 공간을 창고처럼 쓰고 있다”며 고층 아파트에 맞춰 방재 안전 기준도 이에 맞게 재정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