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입을 독려하고 있는 임금피크제(임피제)를 채택한 공공기관이 전체의 60%를 넘어섰다.
정부는 아직 이 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채 추가 정년연장 등을 요구하며 집단행동을 하는 일부 공기관 노조의 행태를 비판하고 조속한 도입을 촉구했다.
기획재정부는 20일 노형욱 재정관리관 주재로 개최한 제3차 관계부처 협의회에서 기관별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19일 기준으로 316개 공공기관 가운데 191곳(60.4%)이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했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한 이사회가 이달 중 열리는 기관까지 포함하면 225곳(71.2%)에 달한다.
기관 유형별 도입률을 보면 공기업이 86.7%(26개)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준정부기관 82.6%(71개), 기타공공기관 47.0%(94개) 순이다.
경제인문사회계 24개 출연연구원 가운데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조세재정연구원 등 12곳이 도입을 완료했다.
금피크제 도입 기관의 평균 임금 조정기간은 2.6년으로 나타났다.
임금피크제 적용 시점부터의 평균 임금 지급률은 1년차 81.9%, 2년차 75.2%, 3년차 68.8%로 집계됐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소관 기관 10곳 모두 피크제 도입을 완료한 농식품부와 지난 8월 이 제도를 조기도입한 코트라(KOTRA) 사례가 공유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대형 공공기관, 과학기술계 출연연구원, 국립대병원 등 일부 기관의 도입 실적이 다소 부진하다”며 최근 일부 노조가 추가 정년연장을 요구하고 집단행동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정부가 수용하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영평가와 임금인상률 등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무부처와 공공기관장은 반드시 10월 중 도입을 완료해 달라”고 당부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