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주식시장을 주름잡았던 화장품 음식료 바이오주들이 더 상승할 수 있을까. 이 종목들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을 보면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 회사가 가진 자산가치보다 훨씬 비싼 주식들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시장을 주름잡으며 끝없이 상승할 것 같았던 철강 화학 조선주들이 단 몇 년 만에 초라한 모습이 된 것을 잊지 말라는 충고들이다.
19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2007년 이후 국내 대표 조선주로 시장을 이끌었던 현대중공업의 PBR는 현재 0.4배에 불과하다. 회사가 가진 순자산가치에 비해 절반도 안되는 가격에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조선업이 최고 호황이던 2007년 11월 7일 당시 현대중공업의 PBR는 8.5배에 달했다. 8년 만에 PBR가 20분의 1 수준이 됐고 같은 기간 주가는 52만8000원(종가 기준)에서 10만7000원(16일 종가 기준)으로 5분의 1 토막이 났다. 당시 현대중공업의 상승세만 믿고 장기 투자했던 투자자라면 막대한 손실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현대중공업과 함께 시장을 이끌었던 두산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역시 비슷한 시기에 PBR가 각각 7.9배, 12.5배를 기록했다가 최근 0.5배, 1.2배 수준까지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을 이끌었던 '차화정(자동차·화학·정유)' 주식인 LG화학도 마찬가지다. 2011년 4월 21일 5.4배를 기록했던 PBR는 지금은 1.8배로 내려앉았다. 같은 기간 주가는 56만7000원에서 28만9000원까지 하락했다.
PBR는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격으로 나눈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회사가 가진 순자산 가치에 비해 높게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로 향후 12개월 실적 전망치를 기준으로 현재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주가수익비율(PER)에 비해 보다 보수적인 잣대로 인식되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임원은 "PER의 경우 성장기업이면 애널리스트들이 미래 실적을 높게 잡는 경우가 많아 주가가 많이 올랐어도 PER가 낮아 싸게 보일 수가 있지만 자산가치를 기준으로 하는 PBR는 좀 더 주가를 냉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현재 전체 국내 주식시장이 PBR 1배 정도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아무리 좋게 봐도 PBR 10배 근처인 기업들은 과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고PBR주들의 실패에 대한 자료는 몇몇 주식들이 아닌 다수 주식들을 대상으로한 통계로도 나타난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2005년 1월부터 지난 10년간 매월 PBR 4배 이상 종목군에 투자할 경우 투자 후 1년간 월별 수익률이 코스피·코스닥 시총 200개 종목 평균 수익률보다 저조했던 기간이 70%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과거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몇몇 대형사들이 집중 매수하며 장세를 이끌었던 종목들이 고PBR에도 불구하고 버티다가 지금은 초라해진 만큼 올해 중소형주펀드나 성장주펀드들이 집중 매수하면서 가격을 올렸던 종목들 또한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한다.
문제는 이 종목들이 벌써 PBR 고점에서 꺾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샘(18배→14배), 삼립식품(15.4배→11.9배), 한미약품(11배→7.3배), 아모레퍼시픽(10.7배→9배) 등 올해 PBR 고점을 기록했던 종목들은 몇 달 만에 이미 주가가 꺾이면서 PBR도 대폭 낮아졌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거품주들의 경우 그 하락 속도와 폭이 예상외로 클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고PBR 종목들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증권정보업체 와이즈에프앤과 삼성증권에 따르면 메디톡스(28.5배), 한미사이언스(16.3배), 동원시스템즈(12.2배) 등이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높은 PBR를 기록 중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인터넷이나 바이오 등 원래 자산가치의 의미가 낮은 주식들에 비해 일반 제조업 중 고PBR주식이 더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전력(0.6배), 한국가스공사(0.4배), 신세계(0.9배) 등은 저PBR이면서 올해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준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 회사가 가진 자산가치보다 훨씬 비싼 주식들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시장을 주름잡으며 끝없이 상승할 것 같았던 철강 화학 조선주들이 단 몇 년 만에 초라한 모습이 된 것을 잊지 말라는 충고들이다.
19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2007년 이후 국내 대표 조선주로 시장을 이끌었던 현대중공업의 PBR는 현재 0.4배에 불과하다. 회사가 가진 순자산가치에 비해 절반도 안되는 가격에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조선업이 최고 호황이던 2007년 11월 7일 당시 현대중공업의 PBR는 8.5배에 달했다. 8년 만에 PBR가 20분의 1 수준이 됐고 같은 기간 주가는 52만8000원(종가 기준)에서 10만7000원(16일 종가 기준)으로 5분의 1 토막이 났다. 당시 현대중공업의 상승세만 믿고 장기 투자했던 투자자라면 막대한 손실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현대중공업과 함께 시장을 이끌었던 두산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역시 비슷한 시기에 PBR가 각각 7.9배, 12.5배를 기록했다가 최근 0.5배, 1.2배 수준까지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을 이끌었던 '차화정(자동차·화학·정유)' 주식인 LG화학도 마찬가지다. 2011년 4월 21일 5.4배를 기록했던 PBR는 지금은 1.8배로 내려앉았다. 같은 기간 주가는 56만7000원에서 28만9000원까지 하락했다.
PBR는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격으로 나눈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회사가 가진 순자산 가치에 비해 높게 거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로 향후 12개월 실적 전망치를 기준으로 현재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주가수익비율(PER)에 비해 보다 보수적인 잣대로 인식되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임원은 "PER의 경우 성장기업이면 애널리스트들이 미래 실적을 높게 잡는 경우가 많아 주가가 많이 올랐어도 PER가 낮아 싸게 보일 수가 있지만 자산가치를 기준으로 하는 PBR는 좀 더 주가를 냉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현재 전체 국내 주식시장이 PBR 1배 정도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아무리 좋게 봐도 PBR 10배 근처인 기업들은 과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고PBR주들의 실패에 대한 자료는 몇몇 주식들이 아닌 다수 주식들을 대상으로한 통계로도 나타난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2005년 1월부터 지난 10년간 매월 PBR 4배 이상 종목군에 투자할 경우 투자 후 1년간 월별 수익률이 코스피·코스닥 시총 200개 종목 평균 수익률보다 저조했던 기간이 70%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과거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몇몇 대형사들이 집중 매수하며 장세를 이끌었던 종목들이 고PBR에도 불구하고 버티다가 지금은 초라해진 만큼 올해 중소형주펀드나 성장주펀드들이 집중 매수하면서 가격을 올렸던 종목들 또한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한다.
문제는 이 종목들이 벌써 PBR 고점에서 꺾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샘(18배→14배), 삼립식품(15.4배→11.9배), 한미약품(11배→7.3배), 아모레퍼시픽(10.7배→9배) 등 올해 PBR 고점을 기록했던 종목들은 몇 달 만에 이미 주가가 꺾이면서 PBR도 대폭 낮아졌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거품주들의 경우 그 하락 속도와 폭이 예상외로 클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고PBR 종목들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증권정보업체 와이즈에프앤과 삼성증권에 따르면 메디톡스(28.5배), 한미사이언스(16.3배), 동원시스템즈(12.2배) 등이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높은 PBR를 기록 중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인터넷이나 바이오 등 원래 자산가치의 의미가 낮은 주식들에 비해 일반 제조업 중 고PBR주식이 더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전력(0.6배), 한국가스공사(0.4배), 신세계(0.9배) 등은 저PBR이면서 올해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준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