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양건, 2차 남북정상회담 직전 청와대 극비 방문”
입력 2015-10-01 10:48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 담당 비서가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직전 청와대를 극비 방문한 사실이 뒤늦게 공개됐다.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백종천 전 청와대 안보정책실장과 공저한 회고록 ‘노무현의 한반도 평화구상 - 10.4 남북정상선언에서 이같이 밝혔다.
1일 이 책자에 따르면 김 전 원장은 김양건 부장은 최승철 부부장과 원동연 실장을 대동하고 1박2일 일정으로 서울을 극비리에 방문했다”면서 9월 26일 노무현 대통령은 청와대 여민1관에서 북측대표단을 접견했다”고 말했다.
당시 우리 정부는 평화체제 문제와 경제협력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합의서 안에 담아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북측은 6·15 남북공동선언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선언하자는 입장을 보였다.

김양건 부장은 청와대 예방 전 이러한 내용의 정상회담 합의문 북측 안을 국정원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김 전 원장은 이러한 입장차이를 잘 알고 있던 노무현 대통령은 김 부장 일행에게 직접 남북이 합의해 놓고 이행하지 않는 문제 등을 거론한 뒤 이번 정상회담은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2007년 5월말 열린 21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김 전 원장을 통해 권호웅 북측 단장에게 2차 정상회담 의사를 타진했고, 김 전 원장은 이후 세 차례 방북해 북측과 일정과 의제 등을 조율했다.
회고록에는 그해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에서 진행된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노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이 주고받은 발언들도 담겼다.
이 과정에서 김 전 국방위원장은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합의한 6·15 공동선언에 대해 쌍방이 힘들게 완성을 시켜서, 난 6·15 공동선언이 아주 훌륭한 문건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6·15공동선언 5년 동안의 역사 시간을 보면 그저 상징화된 빈 구호가 되고, 빈 종이, 빈 선전곽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