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코스피, 외인 매도에 낙폭 확대…1950선으로 밀려
입력 2015-09-23 11:29 

코스피가 방향성을 잡지 못하며 갈팡질팡하는 행보를 지속하는 가운데 이날은 다시 1%대의 낙폭을 보이고 있다. 지난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금리 불활실성이 확대된데다 환율이 재차 오르면서 외국인 수급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23일 오전 11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4.75포인트(1.25%) 내린 1957.31을 기록 중이다. 이날 지수는 21.73포인트 내린 1960.33에 개장한 후 한때 1968선까지 낙폭을 줄이다가 외국인의 매도세가 강해지면서 다시 1950선으로 밀렸다.
지난주 FOMC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이후 유동성 장세 연장에 대한 기대감과 미국 금리 불확실성이 맞서면서 코스피는 변동성 높은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수는 기준금리 동결 결정 직후인 지난 18일 0.98% 올랐다가 이번주 월요일 1.57% 급락했다. 이후 전날은 다시 0.88% 상승했다가 이날은 또 1%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멤버들의 매파적 발언이 잇따르면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은행 총재는 연내 금리인상을 주장하며 세계 경제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에도 연준은 연내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올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아시아 신흥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직전 전망치보다 0.3% 포인트 낮춘 5.8%로 제시하는 등 신흥국의 경제 위기 가능성이 점증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이에 따라 전날 뉴욕증시도 1% 이상 하락 마감했다.

다시 오르기 시작한 환율은 해외 자금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 이달 초 1200원선에서 FOMC 회의 직전 1160원까지 하락했던 원/달러 환율은 FOMC가 끝나자 연일 오르면서 이날 1188원선까지 상승했다. 환율이 오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환차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급에 부담이 된다. 외국인이 연일 순매도에 나서는 가운데 기관이 사는 날은 지수가 오르고, 기관이 파는 날은 떨어지는 장세가 펼쳐지면서 기관 수급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로 떠오르고 있다.
김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아직 바닥을 다지는 과정으로 주도주가 나타나지 않는 가운데 추석연휴를 앞두고 관망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라며 기관의 수급 영향력이 확대되는 모습으로 기관 순매수 상위 종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업종별로 의료정밀, 종이목재 단 두 업종을 제외한 전업종이 하락하는 가운데 섬유의복, 기계, 운송장비 등이 3% 가까이 하락하고 있다.
매매주체별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345억원, 150억원을 순매도하고 있고 개인은 2384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프로그램 매매는 1840억원 매도 우위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체로 약세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기업 가운데 LG화학, NAVER 단 두 종목만 오르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 현대차, 한국전력, 삼성물산, 아모레퍼시픽 등 시총 상위 대형 종목들이 1~3%대의 낙폭을 기록하고 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3개 상한가를 포함해 160개 종목이 오르고 있고 652개 종목이 떨어지고 있다.
POSCO는 전날 현대삼호중공업이 보유 중이던 POSCO 주식 130만8000주 블록딜했다는 소식에 3% 이상 하락하고 있다. 두산은 3분기 실적 호조 전망에 힘입어 2% 넘게 오르고 있다. 코스피 지수가 급락세를 보이면서 대우증권(-3.52%), 메리츠종금증권(-3.40%), 유안타증권(-3.01%), 대신증권(-2.69%) 등 증권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코스닥은 전일 대비 7.51포인트(1.08%) 내린 686.16을 기록 중이다.
섬유·의복 업체 가희는 대규모 유상증자 소식에 19% 급락하고 있다. 이날 상장한 인포마크는 공모가 1만4000원보다 78.57% 뛴 2만5000원으로 시초가를 형성한 뒤 현재 9% 하락하고 있다.
[매경닷컴 고득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