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삭제하는 문제를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연계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습니다.
북한의 테러지원국 해제설을 공식 부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유상욱 기자입니다.
최근 열린 북미관계정상화 실무회의가 끝난 뒤, 북한은 미국이 테러지원국 명단 에서 북한을 삭제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두고 실제 명단에서 뺐는지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는데, 미국이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아직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이 빠지지 않았다는 겁니다.
미 국무부는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삭제 문제를 논의해왔지만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법률적 요건을 충족하고 북한 비핵화가 더 추진돼야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테러지원국 명단 문제를 북한의 핵 불능화 이후 있게될 완전한 핵폐기 절차와 연계하는 방침입니다.
미국은 이미 북한이 핵폐기 입장을 분명히 한 2.13 합의 이후부터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문제를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감안할 때 부시 행정부는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 해제 작업은 이미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구체적 해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고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속도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이 선 것으로 분석됩니다.
mbn뉴스 유상욱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북한의 테러지원국 해제설을 공식 부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유상욱 기자입니다.
최근 열린 북미관계정상화 실무회의가 끝난 뒤, 북한은 미국이 테러지원국 명단 에서 북한을 삭제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두고 실제 명단에서 뺐는지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는데, 미국이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아직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이 빠지지 않았다는 겁니다.
미 국무부는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삭제 문제를 논의해왔지만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법률적 요건을 충족하고 북한 비핵화가 더 추진돼야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테러지원국 명단 문제를 북한의 핵 불능화 이후 있게될 완전한 핵폐기 절차와 연계하는 방침입니다.
미국은 이미 북한이 핵폐기 입장을 분명히 한 2.13 합의 이후부터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문제를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감안할 때 부시 행정부는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 해제 작업은 이미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구체적 해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고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속도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이 선 것으로 분석됩니다.
mbn뉴스 유상욱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